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모던한누에154
모던한누에15421.09.27

코로나예방주사 1차접종후 2차접종기간 6주 지남

1차접종후 2차미접종 현재 2달경과

추후2차접종 가능한가요? 아니면 1차를다시접종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코로나 확진의 경우 격리해제까지 접종이 연기되며, 2차 접종이 지연되었을 경우 최대한 빨리 2차 접종을 시행할 것을 권고하며 1차 접종을 다시 시행할 필요는 없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미국 CDC에서도 무증상 감염으로 격리인 확진자의 경우 격리해제 기준을 충족한 뒤 백신 접종을 시행하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 지침은 2차 접종 전 코로나에 감염된 경우에도 적용됩니다. 코로나 감염으로 접종이 연기된것은 아니지만 1차 접종을 다시 시행하지는 않으며 최대한 빠르게 2차 접종을 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까지 코로나19 예방접종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여러차례 접종하는 백신의 경우 동일백신으로 접종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여러 번 접종을 시행하는 백신의 경우 1차 접종만으로도 일정 비율 이상 항체가 생기지만 항체가 면역반응을 나타내기에 부족한 정도이거나 지속기간이 짧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차 혹은 그 이후의 접종은 부스터의 개념으로 항체를 보다 충분히 하고 지속기간을 길게 유지하기 위해 접종합니다. 따라서 백신접종은 예방효과와 지속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권장된 횟수와 간격을 지켜 접종하시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한 차례 접종 보다는 지연된 2차 접종을 완료하시는 것이 항체 생성 및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화이자 및 모더나 백신의 경우 1~2차 접종사이 최대 6주 이내 접종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백신 제조사의 임상연구에서는 6주까지 2차 접종간격을 늘려 접종했을 때 유의미한 예방효과가 확인되기도 하였습니다. 백신 수급 상황 등에 따라 해외 일부 국가와 WHO에서는 최대 12주 간격으로 2차 접종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가급적 예정된 날짜에 2차 접종예약을 하시고 접종하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부득이하게 예정일에 접종을 못받으실 경우 빠른 시간에 다시 예약하시어 접종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화이자 백신은 가능한 한 권장된 3주 또는 4주 간격에 맞추어 2차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1차 접종 후 최대 6주(42일)까지는 2차 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빨리 2차 접종을 받지는 않아야 합니다. 권장 간격보다 일찍 또는 1차 접종 후 6주 이상 지나 2차 접종을 받을 때의 효과에 대해서는 현재 정확한 정보가 없습니다.
    그러나 권장 간격보다 일찍 또는 늦게 COVID-19 백신 2차 접종을 받는 경우 백신 접종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는 접종 권고 간격이 3~6주

    모더나는 4~6주 입니다.

    아스트라는 8~12주입니다.

    아스트라 1차 접종자에게는 화이자만 교차접종을 하고 있구요.

    현재는 1차를 맞으면 자동적으로 2차 시기가 결정됩니다.

    2차 백신의 경우 보건소에 연락하시면 시간과 장소 변경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와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들은
    1차 접종 후 최대 6주 이내에 2차 접종을 해야 합니다.

    단, 6주 이내에 접종을 못하셨더라도
    1차 접종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지는 않고,
    가능한 빨리 2차 접종을 완료하시도록 설명드립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코로나바이러스-19 예방접종사업 지침(3판)의 내용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의 권고되는 접종 간격보다 짧은 기간 내에 재접종을 받을 경우 백신의 효과가 떨어지고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권고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권장되는 간격보다 다소 늦게 접종 받는 것은 전혀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가능하면 권고되는 적정 기간에 맞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불가피한 경우에는 늦더라도 맞는 것이 좋겠습니다. 1차부터 다시 맞을 필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차 접종 후 현재 2차 접종 하지 않아 2달 경과 되어 문의 주셨습니다.

    가능하면 잔여백신 등 신청하여 빠르게 맞아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전산상으로 2차 접종떄 노쇼를 하셨다면

    예약은 불가능합니다.

    잔여백신으로 맞는게 가능하고

    가급적이면 최대한 빨리 맞으시는게 항체 형성에 좋습니다.

    2차를 맞지 않았다고해서 다시 1차부터 시작하는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혜원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미국질병관리센터에서는 화이자는 3주, 모더나의 경우 4주간격을 권장하고 있고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만 6주간격으로 맞으라고 했습니다. 6주 간격으로 맞았을 때 백신의 효과는 아직 명확하지 않아서 최대한 3주와 4주간격으로 맞으라고 하고 있습니다. 6주를 초과해서 맞는 경우는 더욱 백신 효과를 장담하기 힘듭니다. 또한 접종 간격보다 일찍 맞는 것도 항체 형성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6주간격에서 4주 혹은 5주 간격으로 당긴다면 가능합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접종 간격이 4주에서 12주 간격으로 넓은 편이며 4~12주 사이에서 접종을 한다면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잔여백신이 있으면 신청해서 그 기간사이에 맞으셔도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의 접종 간격에 대해서 궁금하신 상황이군요.

    3주의 화이자백신 접종 간격과 4주의 모더나백신 접종 간격은

    제약회사에서의 임상시험에 따른 결과값입니다.

    미국 CDC에서는 6주 간격으로 접종하는 것 까지 허용,

    그 이상에 대해서는 임상시험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6주 이상은 띄우지 않고 접종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닥터최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의 경우 제조사 기준 권장 간격 3주, 모더나는 4주, 아스트라제네카는 4-12주 (WHO권장 8-12주) 입니다. 그래서 화이자의 경우 3주 전이나 6주를 넘어가지 않게 접종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만 그 기간을 넘겼을 경우에도 백신 효과가 어떨지는 여전히 불분명합니다. 어떤 연구에서는 접종 간격이 길어져서 백신 효과가 더 좋아졌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시기를 지나쳐도 2차 접종으로 간주합니다. 다시 1차부터 시작할 필요는 없습니다.

    궁금증이 해결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으로 채택해주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9.28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면역 반응은 항체 수치가 파도처럼 올라갔다가 내려가게 됩니다. 첫번째 파도는 조금 낮지만 2차접종을 할 경우 두번째 파도는 첫번째 파도보다 훨씬 높게 됩니다. 그리고 면역력을 획득하게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수개월이 아닌 수주간의 접종일 차이는 면역 획득에 큰 장애가 되지 않을것이라 사료됩니다. 다만 박자가 조금 엇나가면 두번째 파도가 약간 낮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2차 미접종이고 6주 지난 경우라면 해당 보건소에 문의하여 날짜를 재조정하셔야 합니다.

    1차부터 다시 맞는 것은 아니며 2차 예약날짜만 다시 잡으시면 됩니다.

    가능하면 최대한 빨리 접종하는 것이 항체생성측면에서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병열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새로운 접종시작이 아닌 2차접종으로 진행됩니다.

    1차접종 후 심각한 이상반응이나 2차접종을 받으면 안된다는 의사의 소견이 없다면, 해당 백신으로 얻을 수 있는 최대의 면역력을 위해서 2차접종을 받아야합니다. 델타변이 유행 및 추석연휴 이후 확진자 증가 등에 대응하기 위해 접종완료율이 더 높아져야 합니다.

    델타변이에 대한 화이자백신의 효능은 1차접종 시 35.6% 예방되나 2차접종 시 88%로 예방율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AZ도 1차접종 시 30%, 2차접종 시 67%로 이러한 연구결과는 2차접종까지 완료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1차접종 후 권장간격을 맞춰 2차접종을 하는 것이 권고됩니다.

    1차접종 때와 같은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나 진통제를 복용하시면서 푹 쉬면 서서히 사라집니다. 걱정하지말고 2차접종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민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하루빨리 맞으시길 바랍니다.

    화이자, 모더나 코로나19 예방백신은 최고의 예방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2회 접종이 필요합니다. 의사가 접종하지 말라고 지시하지 않는 한, 1차 접종 후 부작용이 있더라도 2차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최근 2주간(8.29~9.11) 만 18세 이상 확진자 2만895명 중 89.8%는 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 중 미접종자가 60.4%였고, 1차까지만 접종받은 불완전 접종자가 29.4%였습니다.

    새로 발생하는 확진자의 상당수가 백신 1차접종자 인것을 생각해보면, 2차접종까지 접종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차 접종률이 올라감에 따라 백신 접종 권장 주기를 원래대로 돌린다고 합니다. 따라서 화이자는 3주, 모더나는 4주 간격으로 맞게 되고 아스트라제네카는 4~12주 간격으로 맞게 됩니다. 만약 아스트라제네카를 맞고 예약날짜가 8주뒤로 잡혀도 잔여백신이 있는 경우(아스트라제네카) 좀 더 일찍 맞을 수도 있게 됩니다. 화이자, 모더나의 경우 수급이 불안정할 때 6주간격으로 맞기도 했는데 화이자는 3주, 모더나는 4주 간격으로 맞는 것이 효과가 확실하고 6주간격의 경우는 명확하지는 않다고 하고 있고 부득이한 경우에만 6주로 맞으라고 하고 있습니다. 6주간격이 넘어가면 부작용의 위험이 올라간다기보다는 항체생성률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되네요, 정해진 간격보다 빨리 맞는 것 역시 아직 항체생성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모더나는 4주, 화이자는 3주 그리고 아스트라제네카는 8~12주 입니다. 따라서 백신 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이 기간을 지킨다고 해서 백신의 효능이 드라마틱하게 떨어지거나 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기간은 백신을 만든 제조사에서 임상시험 단계에서 항체 생성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는 시기를 산정한 것이나 다른 시기에 접종한다고 해서 항체 생성률이 많이 떨어지거나 하지 않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즉 화이자와 모더나는 각각 3주, 4주 이며 아스트라제네카는 8~12주 입니다. 제조사에 따르면 이 기간을 지키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이러한 기간을 약간 넘거나 앞 당겨 맞더라도 큰 문제는 없다고 합니다. 또한 효과적인 면에서도 큰 차이가 없으니 이상적인 접종 주기에 들어가지 못한다고 해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