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근면한하마253
근면한하마253

온돌의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어릴적 시골집이 온돌이었는데 나무를 때며 밥을 지어 먹은 기억이 생생합니다. 저녁때 불을 지피면 밤새 식지않고 따뜻했는데요.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온돌의 과학적 원리는 열의 전도, 복사, 그리고 대류 현상을 이용한 것입니다.

    아궁이에 불을 지피면 큰 구들장에 열이 저장되고, 저장된 열은 서서히 방출되면서 방을 따뜻하게 데워주는 원리죠.

    구체적으로 방바닥 밑에 깔린 넓적한 돌인 구들장에 열을 가하면 온도가 높아진 돌이 방출하는 열로 난방하는 것입니다. 이는 전도에 의한 난방 방식이며, 복사난방과 대류난방을 겸하고 있습니다.

    복사난방은 벽, 천장, 바닥 등에 매설한 관 속에 온수, 온풍, 증기를 보내어 그 복사열로 따뜻하게 하는 난방법을 말하며, 대류난방은 공기의 순환을 통해 온도를 유지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즉, 온돌은 아궁이에서 발생한 열기가 구들장을 데워 방안이 전체를 따뜻하게 데워지게 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온돌이란 철기 시대부터 사용해 온 우리나라의 고유 난방 장치입니다.

    아궁이에 불을 때면 열기가 방바닥 아래의 빈 공간을 지나면서 구들장(방바닥 아래에 깔아두는 넓적한 돌)을 덥히고,

    따뜻해진 구들장의 열기가 방 전체에 전달되는 과정을 통해 난방이 되는 원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