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체리 피커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정적으로 표현되는게 맞을까요?

체리 피커는 기업의 서비스나 상품에서 본인이 이로운 것만 골라서 챙기는 사람을 뜻합니다. 그런데 불법이 없는 가정 하에 이러한 것은 오히려 현명하다고 볼 수 있는데 왜 부정적 존재로 비춰지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체리피커라고 하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본인의 이익을 취하기 위해서 움직이는 행동에 부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는 불법이나 잘못된 행동으로 볼 수 없으며 오히려 합리적인 소비자라고 볼 수 있어요 다만 기업의 입장에서는 피해가 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체리 피커는 일부 사람들에게 부정적으로 표현될 수 있지만, 그것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닙니다. 체리 피커는 노력보다 쉬운 일을 선택하거나, 일부만 선택하여 편한 일만 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쟁과 성과 중심의 가치관으로 인해 비난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에서는 불필요한 소비도 일어나야만 아무래도

      경제의 흐름에 영향을 상당히 주기도 하며 소비도 진작 되어

      기업들의 마진도 늘기에 이에 따라서 체리피커가 이런 평가를 받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어떤 회사의 제품이나 서비스 가운데 비용 대비 효율이 뛰어나거나 인기가 있는 특정 요소만을 케이크 위 체리 뽑듯이 골라 자신에게 유리하게 소비하려는 현상을 가리키는 경제 용어로 금융계에서는 '가치에 비하여 저평가된 기업의 주식이나 상품을 골라 투자하거나 특정 펀드에 우량 자산만 골라서 편입하는 행위'를 의미하기도 한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체리 피커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정적으로 표현되는 것이 맞나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업이나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부정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구매자나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합리적이라 보여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