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24.04.17

소리는 어떻게 발생하는 것이며 어떻게 귀로 들을 수 있는 건가요?

소리는 어떻게 발생하는 것인가요?

그리고 사람들이 하는 말소리가 어떻게 의미전달이 되는 거며 사람은 그걸 알아 들을 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 전문가 예요~

    소리는

    진동에 의해서 발생하고요.

    진동이 사람의 귀에있는

    고막을 흔들고

    고막안에있는 달팽이관의

    액들이 흔들리면서

    달팽이관 안에 있는 신경들이

    말미잘처럼 흔들리면

    이것을 청각세포가 들어서

    뉴런쪽으로 전달하여

    사람의 뇌가 인지를 하게되어요~

    의미를 해석하는것은

    사람의 뇌에 있는 뉴런들이

    기존에 학습해둔 뇌의 신경망을

    통해서

    방금 귀로들은 진동의 패턴이

    어떤 단어에 해당하는지 인지하는

    과정을 거쳐서 의미를 이해하게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를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물체의 진동으로부터 발생합니다. 물체가 진동하면 주변의 공기를 압축하고 진동시키고, 이 진동이 파동 형태로 퍼져 나가면서 우리 귀에 도달하게 됩니다. 사람의 말소리는 성대 진동으로 만들어집니다. 우리가 말을 할 때, 성대가 숨결의 영향으로 진동하며, 이 진동이 입술과 혀의 조절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만들어 냅니다. 이 소리는 공기를 타고 전달되어 다른 사람의 귀에 도달하게 됩니다. 하지만 단순한 소리만으로는 의미를 전달할 수 없습니다. 사람은 언어적 규칙과 경험을 바탕으로 소리를 해석하여 의미를 파악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한국어의 문법과 어휘를 바탕으로 소리를 이해하고,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리는 물리적인 진동이지만, 언어적 규칙과 경험을 통해 의미를 담고 전달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물체의 진동에 의해 발생합니다.

    그리고 소리는 귓바퀴를 통해 들어가서 외이도를 지나 고막으로 전달되어 진동으로 바뀝니다. 그 진동은 이소골에 의해 와우각으로 전달되고 와우각에 있는 세포에 의해 청각신경 신호로 바뀝니다. 그 신호가 뇌로 전달되어 인간이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소리는 고막을 통해 들어오는 것 이외에 두개골, 몸의 진동이 청신경을 자극하여 지각되기도 하며 이를 골전도 청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소리는 물체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고, 이 진동이 공기를 통해 우리의 귀로 전달되어 소리로 인식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