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워를 한후에도 모기에게 잘물리는이유는 무엇인가요?
여름에 모기때문에 모두들 고민이 많으실것입니다.
땀을 많이 흘릴경우 특히 밖에서 가만히 서있을경우 모기들이 엄청 무는것이느껴집니다.
그런데 특이한게 샤워를 깨끗이 하고 나오면 당연히 모기가 물지 않을거라고 생각을했는데 오히려 어떤경우는 평소보다 더물리는 경우도 있어서 의아하더라구요.
샤워를 한 후 모기에게 잘 물리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모기의 습성상...냄새, 습기,열 등을 감지하여 인간을 공격하는데요..
대부분 샤워후에는 땀의 냄새와 열,습기가 제거되기 때문에 모기가 잘 물리지 않는데...
샤워후 피부에 적잖은 수분이 남아 있거나 습기가 있는경우..
혹은, 향기 강한 바디로션이나 목욕후 로션,스킨을 발랐을때 모기가 좋아하는 냄새로 인해 평소보다 더 공격을 해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샤워후에는 반드시 몸을 제대로 말려주시고..가능하면 향이 강한 화장품은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ㅎ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모기는 냄새 뿐만 아니라 열에도 민감합니다.
샤워 직후 몸에서 나오는 열에 의한 원인이거나 특정 부위가 제대로 씻겨지지 못한 경우도 있을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샤워후에도 모기는 이산화탄소와 열감을 감지해서 사람을 무는게 일반적인데요. 여기에 또 모기 흡혈하기 선호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샤워를 하신다는 건 체온을 낮쳐 주는 것인데요. 그래도 모기가 문다면 신진대사가 활발하여서 몸에서 이산화탄소가 많이 배출 된다는 지 아니면 모기는 붉은색 계열의 옷을 인지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붉은색옷을 입고 있엇다는지 등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샤워를 하면 몸에 붙어있는 젖산 등의 냄새가 떨어져 나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샤워를 해도 모기가 물리기 쉬운 그 이유는 모기는 땀, 이산화탄소, 체온, 냄새를 감지하여 사람을 물어뜯기 때문입니다. 샤워를 해도 이산화탄소, 체온은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샤워를 해도 모기에 물리기 쉽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모기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체기를 탐지하여 물리기 때문에, 샤워로 인해 체기가 감소하더라도 여전히 모기에게 끌릴 수 있습니다. 모기는 체기뿐만 아니라 체온, 이산화탄소, 피냄새 등 다양한 요인을 감지하여 물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샤워로 체기를 감소시켜도 이외의 다른 요인들이 모기에게서 끌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모기는 체열에 반응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체열이 높은 아이들이 주로 모기에 많이 물립니다.
샤워후 체열이 내려간 상태라면 모기가 덜 올수 있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