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러시아에서 크리스마스를 1월달로 정해놓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환영받는 축제이면서 마음 따뜻해지는 행사날입니다.

바로 크리스마스 성탄절인데요.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보통 12월25일인데요.

러시아에서는 1월달에 크리스마스가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탄절은 12월 25일이며,

    해당 기간 동안이 러시아의 겨울 명절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스뱌뜨끼는 12월 25일부터 시작되어 다음 해 1월 5일에 끝이 납니다. 성탄절은 스뱌뜨끼가 시작되는 명절로서 러시아 민중들이 가장 좋아하는 명절 중의 하나입니다. 성탄절은 시기적으로 동짓날(12월 25일)과 일치합니다.

    크리스마스 주간(Christmas-tide)은 성스러운 밤으로써 그리스도의 탄생을 축하하는 명절입니다. 현재의 우크라이나(과거의 소(小)러시아), 폴란드, 그리고 백러시아에서는 많은 명절을 스뱌뜨끼(Svyatki)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질룐느이예 스뱌뜨끼는 뜨로이짜(삼위일체) 주간입니다.

    러시아에는 크리스마스 주간에 여러 가지 풍습과, 의례 등이 행해졌고, 이러한 풍습은 이교와 기독교적 풍습들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이중 점치기, 놀이, 희극적인 옷차림 등이 바로 이교의 전통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교회를 믿는 국가 일부는 전 세계의 통상적인 성탄절 날짜인 12월 25일이 아닌 매년 1월 7일을 성탄절로 기념합니다.

    정교회에서는 세계 표준 달력인 그레고리력과 13일 차이가 나는 율리우스력을 기준으로 종교적 명절을 지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가 쓰는 연도는 그레고리력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러시아인들이 믿는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이를 로마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가

    제정했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했습니다.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율리우스력을 쓰고 있으며,

    동유럽에서 정교를 믿는 신자들에게도 크리스마스는 1월 7일입니다.


    크리스마스 12월 25일은 로마시대의 농신제와 태양신제, 동지 등 로마시대의 축제가 기독교로 흡수되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초기 기독교에서는 태양을 예수의 상징으로 받으들였으며, 미쓰라교나 조로아스터교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모든나라가 모두 12월 25일이 성탄절은 아닙니다.

    이디오피아의 콥트 교회는 1월 7일에 성탄절 행사를 하고 러시아는 1월 7일입니다.

    그리고 스코틀랜드는 1월 1일에 성탄절을 합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러시아의 크리스마스는 1월 7일입니다. 이는 러시아가 율리우스력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율리우스력은 고대 로마에서 사용하던 달력으로, 그레고리력을 사용하는 우리나라와는 13일의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율리우스력의 12월 25일은 그레고리력의 1월 7일이 되는 것입니다.

    러시아는 1918년부터 그레고리력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정교회는 전통을 중시하여, 여전히 율리우스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1월 7일을 크리스마스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러시아 외에도, 그리스, 세르비아, 우크라이나, 에티오피아 등 정교회 국가들은 율리우스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1월 7일에 크리스마스를 기념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