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매우리더십있는햄버거
매우리더십있는햄버거

교류와 직류는 왜 구분이 되서 사용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자격증 공부중인 30대 직장인입니다. 전기관련 공부를 하다가 전기에는 교류와 직류가 있다는것을 알았습니다. 그런데 왜 교류랑 직류로 나누어서 사용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입니다. 교류와 직류가 나누어서 사용되는 이유는 각각의 물리적 특성과 장단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용도에 맞게 더 적합한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직류와 교류의 나눠서 사용하는 것은 용도에 따라 사용하는 분야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직류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기로서 일정 가고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기 때문에 태양광발전, 밧데리, 전자기기 등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교류는 전류가 일정한 주기로 방향을 바뀌게 되며 장거리 송신에 유리하여 가정용전기, 상업용전기, 산업용 전기 등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즉, 우리가 일반 가정에서 쉽게 사용하고 있는 전기는 교류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기기능사입니다.

    직류는 크기와 방향이 일정한 전류나 전압, 교류는 크기와 방향이 변하는 전류나 전압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직류를 사용한다면 크기와 방향이 일정하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합니다. 이에 반해 교류의 경우 크기와 방향의 변환이 쉬워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교류의 경우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하므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기기사입니다.

    교류와 직류 나누는것은 굉장히 중요한 문제이고 활용성이 다릅니다. 교류전압이 필요한거는 전압을 자유롭게 올리고 내릴수 있는 변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전기를 멀리 보내고 싶으면 고압송전이 필요한데 이때 변압기에서 전압조절을 할수 있어서 송전 효율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대부분 가정에서는 교류전압을 사용합니다.

    직류전압은 전압과 전류 방향이 항상 일정하므로 전자기기회로나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때 필요한곳에만 사용합니다.

    예를들면 스마트폰 노트북 배터리등 직류만 사용하고 저장이 가능합니다. 즉 정밀한 제어가 필요할떄 직류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어댑터가 필요한것이고 이를 통해 교류를 직류로 바꿔서 사용하게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