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길이빛나
길이빛나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하면 왜 끄기가 어려운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차나 핸드폰의 배터리에서 불이 난다면 끄기가 어렵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왜 배터리에서 불이나면 끄기가 어려운 것인가요?? 배터리 자체가 에너지 덩어리라 그런가뇨??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불이 발생되면 산소를 차단하거나 연소 물질을 없애거나 온도를 낮추거나 해야합니다. 그런데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화재가 나는 대부분의 이유는 외부 충격등에 의해서 기온이 상승하거나 열폭주가 발생되어서 내부 압력이 커지면서 분리막이 붕괴되어 양극과 음극이 접축하면서 열이 발생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양극과 음극이 지속적으로 반응해서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연소 물질을 제거하기 어렵고 또한 지속적인 반응으로 인해서 열이 계속나기 때문에 물로도 온도를 낮추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불을 끄기 어려운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하면 끄기 어려운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는 자체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며 연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불이 났을 때 일반 소화기가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배터리 자체가 고농도의 화학 에너지를 함유하고 있어 연소가 계속될 수 있고, 열폭주 현상이 발생해 인접한 셀로 불이 쉽게 확산됩니다. 또한, 전기 화재이므로 물을 사용하기도 어렵고, 특별한 소화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불이 난 배터리를 진압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복잡한 과정이 요구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배터리 화재가 끄기 어려운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단락이나 외부 손상으로 인해 과열될 경우, 내부의 전해질이 발화 물질로 변해 산소와 반응하게 됩니다. 이때 배터리 자체가 연소를 지속할 수 있는 산소를 생성하기 때문에 불이 계속 번질 수 있습니다. 또한 배터리 팩의 밀집된 구조로 인해 화재를 내부까지 완전히 진압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물리적인 접근이 힘들기 때문에 전용 내화 물질이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 안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사용 시 제조사의 권장 사항을 따르는 것이 최선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리튬이온전지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우선 에너지 밀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이 에너지가 급격히 방출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열 폭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배터리 내부의 과열로 인해 폭발및 화재가 발생하게 됩니다. 리튬이온전지의 경우 내부에 액체전해질이 존재하는데, 대부분이 인화성 물질입니다. 또한 전기 화재 특성상 물로 진화가 위험할 수 있고,잔열로 인한 재발화 가능성 등이 있어 상당히 어려우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배터리 내부에 화학물질 때문인데요.

    이런 화학물질이 소화설비를 이용해 끄더라도 불이 연소되지 않는거죠.

    감사합니다.

  • 스마트폰의 배터리 정도는 대량의 물로 끌 수 있다고 합니다.

    전기차의 배터리는 외부 덮개로 싸여 있어, 물을 직접 분사해도 효과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배터리에 화재가 나면 끄기 힘든 이유는 배터리 내부의 화학 반응이 열을 계속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는 고온에서 불안정해져 열 폭주 현상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이 과정에서 배터리 내 전해질이 가연성 가스를 방출하고 이 가스가 점화되면 화재가 더욱 심각해집니다. 또한 배터리 셀들이 밀집되어 있어 하나의 셀이 과열되면 인접한 셀로 화재가 쉽게 번집니다.

    일반적인 소화 방법으로는 이러한 내부 화학 반응을 완전히 차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배터리 화재를 끄기가 매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