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안과

부산갈매기
부산갈매기

눈앞에 흑색 점이 보이는데 병원을 가야 할까요?

나이
1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뇌전증약
기저질환
뇌전증

언제부터 인지는 모르겠는데 눈앞에 검은색 점이 계속 보여요. 보였다 안 보였다. 하기는 하는데 점 위에 선도 가끔씩 보이기도 하는데 이거 무슨 증상일까요? 안과에 꼭 가야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점이돌아다니는것은 산동을 해서 눈안를 확인을해봐야합니다. 지속된다면 안과진료를 통하여 검사를해보실수있겠습니다. 보이다안보이다하면 시간지나면 없어지진않으나 점점 호전될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맹점이 보인다면 안과를 방문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비문증을 그렇게 오인하실수도 있긴합니다만

    방문해서 전체적인 안구에 대한 검사를 하셔야겠네요.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비문증은 실같은 검은 점, 떠다니는 거미줄, 그림자 또는 검은 구름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됩니다. 시신경유두부에 유착되어 있던 신경교조직이나 농축된 유리체 또는 동반된 유리체출혈이 후유리체박리로 인해 자유로이 유리체강내에 떠다니고 환자가 이를 자각하는 것입니다.증상이 있는 후유리체박리의 경우 약 15%에서 망막열공이 실제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증상이 있는 경우 안과에 내원하여 안저검사 등을 시행하여 망막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망막열공이 발생하게 되면 망막박리를 예방하기 위하여 레이저광응고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비문증의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원인이 여러가지여서 일시적인 경우도 많지만 드문 원인중 하나인 망막박리가 아닌지 꼭 확인해야합니다.

    망막박리인 경우에 시간이 지나서 황반쪽에 박리가 일어나면 시력에 영향이 잇을 수 있으니 내일 꼭 안과 방문하셔서 진료 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비문증(날파리증)이 있는 상태로 보입니다. 실제 눈에 뭐가 있는 것은 아니랍니다. 비문증은 보통 노화와 관련하여 생기는 경우가 많고, 신경이 쓰이는 것 외에는 특별한 불편함을 유발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치료는 하지 않고 지켜보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물론 증상이 급격히 심해지고 시야에 문제가 동반된다면 망막 질환과 같은 다른 원인에 의해서 생긴 것일 수 있어서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답니다. 불편하지 않으시다면 그냥 무시하고 적응하면서 지내시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라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눈 앞 검은색 점이 보인다면 안과에 내원하여 안저검사등을 통해 자세한 검사가 필요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안과에 내원하시어 진료를 받아보시고 정확한 진단을 받는것을 권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비문증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며 눈의 유리체 안에는 정상적으로 안구액이 있으며

    이를 통해 빛이 굴절되고 상이 맻혀지며 안구의 탄력을 유지하게 됩니다. 이 유리체 안의

    액체는 평생 바뀌지 않기 때문에 안에 노폐물이 생겨도 사라지지 않고 무언가를 볼 때

    눈 앞에 왔다갔다 하게 됩니다. 심각한 질병은 아니며 비타민을 복용하는 것 외에 특별한

    치료법이 있는 것은 아니어서 신경쓰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나이에 따른 변화나 여러 가지 안과질환에 의해 유리체 내에 혼탁이 생기면, 망막에 그림자를 드리워서 우리가 마치 눈앞에 뭔가가 떠다니는 것처럼 느끼게 됩니다. 이 증상을 비문증이라고 합니다. 비문증일 가능성도 있으니 안과에서 진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비문증이 의심됩니다. 비문증은 주로 노화에 의해서 나타나지만, 외상이나 고도근시,망막열공 및 망막박리, 염증질환, 유리체 출혈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기도 합니다. 비문증 자체로는 큰 치료법이 없는 상태입니다. 하지만 비문증이 발생하는 경우, 망막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망막열공이 발생하게 되면 망막박리를 예방하기 위하여 레이저광응고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비문증이 맞는지 아닌지 역시 정확하지 않으며 안과적인 증상은 안과 전문의가 검안경이나 세극등을 이용해 직접 확인을 하여야 진단이 가능합니다.

    안과를 내원하여 상담할 것을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