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 폴리머 전지가 물에 닿으면 폭발한다는데 사실인가요?
무선조종 자동차안에 들어가는 리튬 폴리머 전지를 많이 쓰는 편인데 지인이 물가 같은데서 조종하지 말라더군요. 물이 들어가면 폭발한다고 하던데 그래도 안전장치가 있지 않나 생각은 들지만 아니라고 하더군요. 물에 들어가면 폭발위험이 있다고 하는데 왜 그런건가요?
순수한 리튬 금속은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물질입니다.
알칼리 금속으로는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등이 있는데,
매우 불안정한 금속이어서 물만 가져다 대도 곧바로 반응하여 폭발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경우엔 물과 반응하게되면 수소가 연소되어 거대한 폭발이 일어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장용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배터리에 들어있는 리튬 금속은 원소기호3번으로 가장 가벼운 금속이며 알칼리 금속입니다. 물과 반응하면 폭발적으로 반응을 일으키며 산화하는데 물의 산소와 반응해 산화리튬으로 바뀌며 수소를 발생시킵니다. 이때 많은 열이 발생하여 불꽃이 발생하여 폭발적으로 불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특징은 반응성이 매우 높아 물에 닿으면 산화반응이 굉장히 빨리 일어납니다.(이때의 산화 반응은 철이 녹이스는 반응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눈으로 관찰이 될 만큼 굉장히 빠르게 일어납니다.) 그리고, 산화반응은 발열반응으로 열이 발생하며, 리튬이 물에 닿게 되면 수소 기체(LiH + H2O → LiOH + H2)도 발생합니다. 그래서 열에 의해 수소 기체가 폭발하는것이죠. 그래서 리튬전지와 같은 물질은 물에 최대한 닿지 않게 해야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