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운전을 하다보면 도로위 아지랑이가 피어나는데 그 원리가 무엇인가요?
질문 그대로 여름철 운전을 하다보면 도로 위 공기가 일그러지며 아지랑이 피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 것을 용어로 무엇으로 정의하며 이것이 나타나는 원인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아지랑이 현상은 공기의 밀도 차이에 따른 빛의 굴절 현상으로 나타나며 도로 표면의 뜨거운 열과 주변 공기간의 온도차이로 발생하게 됩니다. 여름철 강한 햇빛이 도로 표면을 빠르게 가열하면 도로 표면은 일반적으로 검은색 아스팔트로 만들어져 있기에 태양 에너지를 더욱 더 흡수하여 주변보다 더 높은 온도로 가열을 시키죠. 이러한 가열로 인해 도로 바로 위의 공기가 빠르게 데워지게 되고 온도가 높을수록 밀도가 낮고 가벼워지기에 팽창하게 되는데 뜨거운 공기가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공기가 상대적으로 아래로 내려오면서 층상구조를 형성하게 되는것이죠. 빛은 매질이ㅡ 밀도 차이에 따라 진행 결고가 휘어지는 굴절을 하게 되는데 뜨거운 공긴 밀도가 낮아 굴절률이 낮고 차가운 공긴 밀도가 높아 굴절률이 높게 됩니다. 아지랑이는 뜨거운 공기와 차가운 공기의 대류현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현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