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치과

강직한호아친51
강직한호아친51

볼에 하얀 막이 벗겨지는데 왜 그럴까요?

입 안에 볼쪽 피부가 부풀어 벗겨지듯이 하얀 막이 계속 벗겨지는데 왜 그런걸까요?

살짝 뜯어내도 사라지지않고 더 많이 생기고

양쪽 볼, 둘 다 그러는데 유독 오른쪽 볼이 더 많이 벗겨지고 없어졌으면해서 뜯으면 가끔 피가 날 정도로 벗겨집니다.

왜 그런걸까요? 뜯지말고 그냥 두면 사라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구강내 백색병소에 의한 연조직 질환으로 의심됩니다.

      치과에 내원하셔서 검진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병리학적 검사를 위한 조직검사나 대학병원으로 의뢰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볼 점막이 치아에 씹혀서 그 부위가 벗겨졋을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 지십니다. 하지만 모양이 커튼모양처럼 생긴경우나 오랜기간동안 지속되셧다면 대학병원 구강내과를 한번 방문해보시는게 좋으실것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입안 볼점막의 상피가 벗겨지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1. 치약등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을 경우

      2. 피곤, 스트레스, 면역력 저하 등으로 상피에 미세한 염증 반응이 나타난 경우

      3. 볼점막에 뜨거운 자극등에 의해 손상을 입어 벗겨지는

      등등의 이유가 있지만 대개는 저절로 없어집니다. 다만 치약을 바꾼 후에 생겼다면 치약 교체로

      생각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위생사입니다.

      • 구강점막의 세포들이 탈락하는 경우 일수 있습니다.

        구강점막은 재생 주기가 있는데 보통 5~7일 정도면  새로운 상피가 재생되며 자극에 의해  떨어집니다.

        구강은 항상 자극(음식물의 분해, 혀의 움직임 등)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피세포가 혀의 움직임 등

        에 의해 떨어집니다.

      • 치약의 원인 일수 있습니다.

        치약이 자신의 체질과 안맞는 경우

        치약의 입자가 커서 구강점막에 자극을 주는 경우

        치약의 첨가물이 자신의 몸과 안맞을 경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