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인때 시행된 태양광을 다시 점검한다는데 왜인가요?
안녕하세요
뉴스에서 태양광 사업이 전기료로 비용만 소모하고 실패하였다는데
어떤 점에서 문제점이 생긴거고 태양광이 생각보다 전기효율이 안나온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태양광 사업에서 발생한 문제점은 몇 가지 요인에 기인합니다. 첫째로, 일부 프로젝트에서 불량 자재 사용이나 설치 부실로 인해 기대한 만큼의 전력 생산량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둘째로, 일부 지역에서는 일조량과 입지 조건이 태양광 발전에 적합하지 않았으나 사업이 추진되어 효율이 떨어졌습니다. 마지막으로, 전력망 연결에 있어 예상치 못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면서 전기료 상승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태양광 발전은 이론적으로는 깨끗한 에너지를 제공하지만, 현실에서는 이러한 실질적 요인들을 고려한 철저한 계획과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태양광 사업이 실패한 이유는 ㅊ기 설치 비용이 높고 예상보다 낮은 발전 효율로 인해 전기요금 절감 효과가 미미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또한 기후나 위치에 따른 발전량 차이 유지보수 비용 등이 예상보다 더 커서 수익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실패하게 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태양광 사업에 대한 재점검은 여러 이유가 있겠습니다. 첫째로,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들의 생산성과 효율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었습니다. 초기 예상한 것보다 전기 생산량이 적거나 지역에 따른 일조량 차이로 인해 기대 효율이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급증하는 설치 수요에 따라 품질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유지보수가 부족해 성능이 저하되기도 했습니다. 이외에도 경제적 측면에서 태양광 발전이 전기 요금을 절감하지 못했다는 점이 문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태양광 발전이 성공적으로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관리와 점검이 필수적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문제인 정부에서 시행된 태양광 사업이 실패 했다고 하는 이유는 전기를 공급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전기를 너무 과잉 공급해서 입니다. 각 지역별로 전기가 얼마나 필요한지 수요조사후 태양광 에너지를 설치를 해야하는데 수요를 생각하지 않고 설치해서 과잉이 되면서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전기가 과잉으로 공급되어도 블랙아웃 즉 정전이 됩니다. 과잉 공급되면 전기의 주파수가 표준 주파수보를 벗어나면서 전력의 품질이 좋아지지 않고 그로인해서 공급바는 설비들에 문제가 생깁니다. 또한 전기를 공급받아서 돌리는 발전기의 터빈같은경우 전기의 주파수가 일정치 않아서 헛돌면서 고장이 나고 그로 인해서 정전이 발생될수 있습니다. 그래서 실패했고 다시 점검해야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태양광 에너지의 효율은 약 20%, 원자력 약 90%, 석탄과 가스는 약 55%, 풍력에너지는 약35% 효율을 갖습니다.
태양광 자체가 효율이 타 발전보다 높지 않고. 사실 원자력이 효율이 가장높고 대한민국 기술력이 최고였습니다.
그리고 정부 주체로 태양광 산업을 진행했음에도 국내 한화 엘지등의 태양광 패널 보다 값싼 중국산 패널 사용이 많았던것같습니다. 한전 적자와 더불어 여러 측면에서 세금사용을 검토하겠다는 취지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