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3.02.20

종이는 나무로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종이는 나무로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종이 색깔이 원래 하얀색인지 궁금합니다.

보통 나무를 보면 약깐 누런색감을 가지고 있는데, 백색은 어떻게해서 만들어지는 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이는 종이가 만들어질 때 백색 피그먼트인 티타늄 백색 제산(Titanium dioxide)이나, 카올린, 분필 등이 종이에 첨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백색 피그먼트는 빛을 모든 파장으로 고르게 반사하므로, 종이는 백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또한, 종이는 일반적으로 매우 부드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드러운 표면은 빛의 반사를 산란시키는데, 이는 빛이 수평으로 뿌려져서 종이의 표면에서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산란에 의해 빛의 파장이 혼합되어서 밝고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종이가 하얀 이유는 흰색 피그먼트가 첨가되어 있어서 모든 파장의 빛을 고르게 반사하고, 부드러운 표면이 빛의 반사를 산란시켜서 밝고 흰색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종이의 원료가 되는 펄프를 화학적, 물리적 처리를 해서 종이를 만듭니다. 하얀색인 이유는 표백처리를 하였기 때문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종이의 원료가 되는 펄프 색이 원래 희지는 않습니다. 차라리 누런색에 가깝겠죠. 나무 속살이니까요.
    그런데 종이가 흰 이유는 그런 펄프에 표백제를 가해서 희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재활용 용지가 누런것은 이 표백제를

    최소화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