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벚꽂은왜 한결같이 흰색일까요?
올해도 변함없이 봄이되니 지천으로 벚꽂이 만개하여 온통 시방이 꽃천지인데
올핸유독 벚꽃이 흰색밖에 안보이는데
왜이럴까요? 예년에는 분홍색도 어우러져 좀더 다양한 아름다움이 있었던것같은더....가뭄?날씨? 원인이 뮐까요?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디 지역에 계시는지? 저희 동네는 하얀색 분홍색 여러색이 같이 개화되어서 전년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궁금하네요 어디지역이신지.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벚꽃이 분홍색이 되는 것은 꽃잎에 있는 색소인 '안료'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벚꽃에는 밝은 분홍색이나 진한 분홍색 등 다양한 색상의 안료가 있습니다.
벚꽃의 색상은 기후, 토양, 광선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작년과 올해의 벚꽃 색상 차이는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을 하신 분이 어느 지역에서 보신 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사는 곳에는 분홍빛도 있는 벚꽃을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벚꽃 나무인 우벚나무는 꽃잎이 분홍색에서 흰색까지 다양한 색상을 띠기 때문에 다채로운 벚꽃 구경을 즐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흰색 벚꽂이 많은 이유는 기상 조건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상 조건에 따라 벚꽂이 꽃봉오리를 내기 시작하는 시기와 꽃이 핀 지속 기간, 꽃이 가지는 색상 등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근 몇 년간 기후변화로 인해 벚꽂이 핀 시기가 예년보다 일찍 시작되는 등 기상적인 영향으로 벚꽂이 변화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정확한 원인은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벚꽃 꽃잎의 색깔이 분홍과 흰색으로 구분되는 이유는 꽃잎에 포함된 색소의 양의 차이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분홍색 벚꽃은 안토시아닌(Anthocyanin)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꽃잎이 진한 분홍색으로 보입니다. 반면, 흰색 벚꽃은 안토시아닌이 거의 없기 때문에 꽃잎이 흰색으로 보입니다.
또한, 벚꽃 꽃잎의 색깔은 유전자 변이에 의해서도 결정됩니다. 일부 유전자 변이는 안토시아닌의 생산을 억제하거나 증가시켜서 꽃잎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이로 인해 분홍색과 흰색 이외에도 연한 분홍색, 연한 노란색, 연한 녹색 등 다양한 색상의 벚꽃이 존재합니다.
질문자님의 궁금증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꽃의 가운데부분인 수피는 자색을 띄며 나머지 부분은 흰색을 띕니다.
왜 흰색인가요? 라고 물으신다면 흰색은 왜 흰색인가요와 같은 맥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