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메타 버스 시대가 오고 있는데 일반인들이 취할 준비 사항은 있나요?

아무래도 메타 버스 시대가 오면

현재 있는 사람들이 적응하기 힘들 수도 있을 것 같아 서

뭔가를 준비를 해야 되는지

아니면 어떤 공부라도 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미리미리 준비이 하고 싶은데 어떤 걸 먼저 해야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건강한갈매기154
      건강한갈매기154

      안녕하세요. 진병기 과학전문가입니다.

      영화 '레디플레이어원'의 미래가 그래도 현실적인 미래가 아닐까 싶습니다

      가상현실 속으로 출근 및 등교해서 현실처럼 생활하는.


      이게 더 극단으로 간다면 '매트릭스'의 그런 세계가 아닐까 싶고요.


      영화속 세상을 통해 메타버스 시대를 예측해보고 대비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메타버스란것이 거창한것이 아닙니다. 메타버스는 가상,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와, 세계를 뜻하는 유니버스의 합성어입니다. 즉 현실 세계를 가상세계로 단순히 확장한 것일 뿐입니다. 상황에 따라서 나를 대표하는 아바타가 생성되기도 합니다. 가장 쉬운 예는 롤플레잉 게임 같은걸 들수 있겠네요. 게임 내에 내 캐릭터가 있고 그 캐릭터가 모험을 떠나는거죠. 이걸 조금 더 현실화 하는겁니다. 예를 들어 출근을 가상 공간에서 하고 실제로 근무는 집에서 하는거죠. 쉬는 시간을 갖고 싶다면 아바타를 휴게실로 옮겨놓고 실제로는 집에서 쉬는거고 회의를 할꺼면 아바타를 회의실로 옮겨놓으면 집에서 화상통화를 통해 사람들과 미팅을 하는것죠. 이렇듯...메타버스란것이 엄청 거창한것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메타버스 시대가 되면 메타버스가 유행이 되고 메타버스로 돈을 벌수도 있을 겁니다

      그전에 미리 공부를 해서 알아두면 좋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의 가상세계를 가리킨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VR,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 기술)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으로, 아바타를 활용해 단지 게임이나 가상현실을 즐기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현실과 같은 사회·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메타버스는 1992년 미국 SF작가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이 소설 《스노 크래시(Snow Crash)》에 언급하면서 처음 등장한 개념으로, 이 소설에서 메타버스는 아바타를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는 가상의 세계를 가리킨다. 그러다 2003년 린든 랩(Linden Lab)이 출시한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 게임이 인기를 끌면서 메타버스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메타버스는 초고속·초연결·초저지연의 5G 상용화와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확산되기 시작했다. 즉, 5G 상용화와 함께 가상현실(VR)·증강현실(AR)·혼합현실(MR) 등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했고, 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온라인 추세가 확산되면서 메타버스가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