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네시삼십분
네시삼십분23.01.27

미국은 물가상승률이 왜그렇게높은건가요?

우리나라도 물가가많이오르긴했지만 뉴스를보면 미국은우리나라보다 물가가 너무많이 오른것같아요

미국물가상승률이 우리나라보다 높은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보다 높은 이유는 미국과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 산출에 사용되는 지표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가장 핵심은 미국의 경우에는 주택 소유자가 집을 빌려줬을 때 받을 수 있는 임대료인 '자가주거비'를 소비자물가에 반영하고 있는데, 이에 반해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자가주거비'의 임대료 예측비용을 소비자물가에 반영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자가주거비용은 개인이 보유한 개인 소유의 주택을 임대를 주었다고 가정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임대료를 의미하는데 전,월세 변동분을 반영해 계산하게 됩니다. 그래서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 내에서 주거비 비중을 본다면, '자가주거비'가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되지 않는 한국, 프랑스, 이탈리아의 경우 각 9%, 7%, 3%로 낮은 수준이지만, '자가주거비'가 포함되고 있는 미국(32%), 영국(26%) 등은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작년 한 때 9%에 육박하는 물가상승률이 최근 4%대로 제어되고 있습니다. 미중 무역 전쟁으로 값싼 중국산 공산품 유입이 줄어들었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에너지 가격이 폭등한 영향이 컸습니다.

    일반적으로 미국 물가 상승률은 2% 내외였습니다. 거대 서비 시장인 미국은 작년 앞서 말씀 드린 이유들로 재화와 서비스 가격이 폭등했고 부동산 관련 가격과 비용도 증가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거비가 물가상승률에 포함되지 않았고, 그동안 공공기관의 물가상승률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로나 대위기 당시 미국은 엄청난 재정정책을 통해서 경기를 부양하고자 했습니다. 자산가격 또한 크게 상승하면서, 소득 수준 또한 높아지면서 소비 여력이 크게 증가하였고, 그로 인해서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경기가 활황인 점들이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