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깨끗한퓨마51
깨끗한퓨마51

늑대는 어떻게 사람들이 키우는 개가 될 수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냉정한자라218
    냉정한자라218

    질문자님의 질문은 늑대 중 일부가 가축 개로 진화했다고 전제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 전제를 사실로 인정하고 고찰하자면 '늑대의 야생성이 어떻게 순치되었을까?' 라는 의문을 제기하신 것으로 이해됩니다.

    정설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압니다. 다만, 야생동물들이 인간과 함께 동거하며 가축이 되는 실제 사례들로 '야생성의 희석'에 대한 추정을 설명할 수는 있겠습니다.

    야생성이 선천적 특성인지 후천적 특성인지에 대한 논의는 차치하고, 보통 야생동물이 인간의 거주지에 접근하는 것은 먹이 부족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겨울철 멧돼지 가족(성체와 젖먹이)의 도심지 출몰에 대한 뉴스를 접하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 야생에서 먹이를 풍족히 확보할 수 있다면 야생동물이 인간에게 접근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먼 옛날 늑대 역시 먹이 부족으로 인간 거주지에 접근하는 일이 있었을 것입니다. 혹독한 추위나 자연발화 또는 지진 등의 재해를 거론해 볼 수 있겠습니다. 먹이를 찾아 불가피하게 인간 거주지에 접근했다가 포획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성체는 도살당하고 젖먹이는 애완용으로 생존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데 큰 무리는 없습니다.

    늑대가 젖먹이 시기부터 인간의 보살핌을 받은 상태로 성체가 되었다가 교배를 하여 후대를 출산하는 일이 일정 기간 반복되면서 선천적인 야생성이 희석 되었을 것입니다. 특정한 상황이 발생하여 잠재된 야생성이 발동된 늑대는 인간과 불화하여 해를 입거나 인간 거주지를 떠났을 테지만 그렇지 않은 늑대는 계속 인간 거주지에서 인간과 동거하며 인간 친화적 특성을 지닌 후대를 출산하는 일이 지속되었을 것입니다. 이런 세월이 상당 기간 흐른 후 이제는 야생 늑대로 분류할 수 없는 가축 '개'의 탄생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