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외로운침팬지184
외로운침팬지184

날이 아주추은겨울되면 한강이 자주얼게되던데 강표면부터 어는이유가궁금합니다.

날이 아주추은 겨울되면 한강이 자주얼게 되던데 강표면부터 얼게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혹시 아시는 전문가님 계시면 답변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적으로 외부에 가장 노출이되는 표면부터 얼게 되는 것 입니다.

      심해의 경우 물과 물 사이에 갇혀있기 때문에 해당 낮은 온도가 더 크게 떨어지지 않는 이상 표면에서 일정 거리 정도의 깊이만 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이 표면부터 얼게 되는 이유는 물의 밀도 때문입니다.

      겨울이 되면 기온이 내려가고 호수나 강물도 온도가 떨어집니다. 그 중 차가운 대기와 접한 표면의 물이 먼저 기온이 내려가게 되고, 차가워진 물은 밀도가 커져 자연히 아래쪽으로 가라앉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서, 덜 차가운 물은 위로 밀려 올라오는 순환이 일어나 전체적인 물의 온도는 더욱 떨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물은 섭씨 4도에서 그 밀도가 가장 큰 특성이 있습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물의 밀도가 커지다 4도가 되면 최대의 밀도가 되고, 온도가 더 낮아지면 오히려 밀도가 작아집니다. 그래서 기온이 4도 아래로 내려가면 물의 순환이 멈추게 됩니다.

      즉, 4도의 물은 아래쪽에 자리 잡고 있고, 4도보다 더 내려간 물은 오히려 밀도가 작아져 위쪽에 위치하며 표면부터 물이 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낮은 온도: 겨울철 한강 지역의 기온이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강의 수온도 급격하게 낮아집니다.

      2. 빙판 형성: 한강의 수면에서 열이 방출되면서 물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강의 표면이 얼음으로 덮이기 시작합니다. 이 얼음이 계속해서 성장하여 빙판이 형성됩니다.

      3. 강류의 압력: 얼음이 형성되면서 강류가 얼음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합니다. 이 압력은 얼음의 강도를 높이며, 얼음이 더욱 견고해지고 두꺼워집니다.

      4. 냉동과 융해의 균형: 한강의 표면에서는 겨울 동안 공기와 물 사이의 열 교환과 얼음의 냉동, 융해 과정이 계속해서 일어납니다. 하지만 평균적으로는 얼음의 냉동이 융해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므로, 얼음이 계속해서 쌓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강물이 표면부터 어는 이유는 바로 물의 고유한 특성인 '밀도' 때문입니다. 물은 섭씨 4도에서 가장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섭씨 4도 이하로 온도가 내려가면, 물의 밀도는 점점 감소합니다. 4도 이하로 온도가 내려간 물은 오히려 밀도가 감소, 더이상 침강하지 않아 물의 표면만 계속 온도가 내려가다가 결국에는 표면만 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강의 하부 보다는 강의 표면이 추운 온도나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강의 표면부터 얼기 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