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이 주를 이루는 국가들의 경제는 발전 가능성의 한계가 존재하나요?
좋은 환경과 오래된 유적들로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국가들의 경우
산업의 비중이 서비스업 쪽으로 쏠려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서비스업 쪽의 비중이 큰 국가들은
발전가능성, 발전의 여부등이 제한되어 있다고 볼 수도 있나요?
서비스업의 비중이 큰 국가들은
자국을 방문하는 타국의 사람들과 자국의 사람들의 소비에 의존해서 발전할 수 밖에 없는지 궁금합니다
질문해주신 서비스업이 주를 이루는 국가들의 경제 발전 한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경제 발전을 이룬 나라들의 공통점은 중공업을 바탕으로
it 등의 기술력을 확보한 나라들입니다.
그렇기에 서비스업으로만은 어느 정도 한계 이상으로 나아가기 힘든 면이 있습니다.
상황이나 여건에 따라 다를수있습니다. 서비스업은 제조업에 비해 노동집약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이 상대적으로 어렵습니다. 이말은 서비스 업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는 상대적으로 경제성장률이 낮을수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서비스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기도 합니다. 관광산업이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인데 부가가치 창출효과가 큽니다. 서비스업은 고용창출효과도 크기때문에 그점에서는 좋은 산업입니다.
서비스업에 의존하는 경우는 경기변동에 취약하며, 글로벌 경기 침체시 경제가 크게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코로나19시설 서비스 업의 비중이 높았던 국가의 타격이 제조업 중심의 국가보다 더 심하게 타격을 입었습니다
서비스 업이 주를 이루는 국가들의 경제는 발전 가능성의 한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일부 국가에서는 관광 산업이나 문화 산업 등 서비스업이 경제 성장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서비스업이 주를 이루는 국가들의 경제에도 한계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조업이나 농업 등 다른 산업에 비해 생산성이 낮을 수 있으며, 노동력 부족이나 경쟁 심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비스업이 주를 이루는 국가들의 경제는 발전 가능성의 한계가 존재할 수 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산업 다각화와 혁신적인 기술 도입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공장이 없거나 제조업이 약한 나라들이 물가가 비쌉니다. 홍콩 같은 도시국가들. 영국처럼 제조업 망한 나라들. 필리핀, 이탈리아, 그리스 등 관광 서비스업 주도 국가들은 과거 커다란 위기를 겪었습니다. 반면에 제조업은 국가의 기반산업이며, 고용창출 그리고 부가가치창출 효과가 큽니다.
서비스업이 주를 이루는 국가들의 경제는 발전 가능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서비스업은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기여하지만, 다른 산업과는 다르게 생산성 향상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업은 외부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경제의 변동성이 크고 취약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이러한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경우 대외적인 다른 국가들의 경제상황 등에 상당히 의존적이게 되며 관광업 및 자영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크기에 발전의 한계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