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인척 결혼식할때 축의금을 개인 단위로 하는가요? 아님 가족단위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기준은 따로 없을거 같은데..
친인척 결혼식할때 축의금을 개인 단위로 하는가요? 아님 가족단위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기준은 따로 없을거 같은데.. 의견을 묻습니다.
질문자님의 질무 내용으로 볼때 친인척 결혼식 축의금은 가족단위가 아닌 개인단위로 하여야 올바르겠지요. 특히 분가를 하였을시 올바른 방법이지요.
친인척이 개인적으로 따로 밥먹은적이 여러번 이거나 서로 연락처 이름을 알고 있으면
개인적으로 하는게 맞습니다.
헌데 친인척이 이성이라면 결혼후 연락이 소원해질수도 있으니 이럴땐 가족단위로 주는게 나을수도 있습니다.
친인척 결혼때 자식들이 결혼해서 분가한 경우에는 가족단위가 아닌 개인단위로 축의금을 하더라구요...
지역에 따라 다르니 참고 하세요
가족단위로 보통하고, 결혼해서 분가하셨다면 개인적으로 하셔도 좋구요. 가족들 성향과 기존에 스타일에 따라서 다른듯해요!!!
저희 집안인 경우에는 각자가 물론 부모님도 따로 합니다. 결혼식 하는 직접 관계자는 부조금을 더 하고 나머지 가족들은 상식선에서 합니다.
친인척 결혼할때 축의금 개인단위로 하나요 아니면 가족단위로 하나요.
부모님과 자녀 결혼한자녀들은 각자 자기이름으로 축의금내고 부모님은 한사람이름로 축의금내죠
자녀도 결혼하지않고 학생이라면 축으금내지않고 돈을 번다면 별도로 축의금내야죠
친인척 결혼축의금 특별히 정해진 규칙이 없어요
친밀도에 따라 축의금도 달라지는것같습니다.
정답은 없지만 상식이 통하는 규칙으로 말씀드립니다.
방법1.
성인이며 경제활동을 하는 가족구성원만 각자축의 (1인당 10만원, 연락 자주하면 20만원)
부부의 경우 공동축의 가능
방법2.
가족구성원 중 기혼자인 경우만 별도 축의, 나머지는 다같이 축의.
예) 부,모,형,제 중 형이 기혼자이면 형만 따로 축의함
아마 집마다가 기준이 다를 거 같습니다만 저희집 기준으로 성인이 된 시점에서 돈을 벌기 시작하면 저희집은 개개인이 따로 축의금을 보냅니다.
친인척이 결혼하면 축의금은 어떻게 해야 하나에 대한 질문이십니다.
일단 집집마다 다를 것인데
저희는 개인이 따로 자신의 이름으로 축의금을 전달합니다.
질문하신 친인척 결혼시 축의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말씀대로 기준은 없습니다.
저희 집은 친인척 결혼시 봉투를 하나로 만들어서 냅니다.
개인으로 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봉투에 성함을 쓰니까 정산할때 누구누구인지 확인할때 이름 있는게 더 낫지 않을까싶어요 다같이 모아서내는건 좀 그렇지않나 하는 개인적색각
특히 가까운 친척이나 친구의 결혼식에서는 개인단위로 축의금 내는 것이 일반적이고 가족단위로 축의금을 내는 경우도 있어요 한 가구에서 참여할 경우 가족 단위로 내는 경우가 많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