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재밌는벌새260
재밌는벌새260

구름의 색깔이 다를때는 날씨의 색깔땸에 그런거에요? 아님 구름이 생성될때 색깔이 그렇게 나타는거에요?

구름이 색깔이 막 날씨가 좋을땐 흰색빛 돌고 날씨가 안좋을땐 까무잡잡한데 그건 무슨 원리로 그런건가요?? 예전부터 궁금했어요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두께, 그리고 내부의 물방울 때문입니다.

      햇빛이 구름을 통과하며 산란을 일으키고 구름에 의해 빛이 흡수되게 되는데요, 구름층이 얇고 내부 물분자가 충분히 떨어져 있다면 흡수되는 빛의 양이 적습니다. 그럼 하얀색으로 보이게 되고 내부 물분자가 가득하고 두꺼운 구름층을 통과하는 경우 상당량의 빛이 흡수되며 검은색으로 보입니다.

      여담이지만 검은색 구름이라도 지상에서 보면 검은색이고 구름의 위쪽은 하얀색으로 보입니다. 이 역시 빛의 반사와 산란 때문입니다.

    • 원래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을 이루는 물방울과 얼음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먹구름이 검은 이유는 물방울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물방울이 커지면서 빛을 반사하는 양보다 흡수하는 양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반사하는 빛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점점 하얀색에서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