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예방주사 접종 질문 드려요
제가 이미 대상포진을 두차례나 걸렸었습니다 주위에서 대상포진을 이미 걸렸으면 예방주사가 의미가 없다고 하는데 굳이 안맞아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대상 포진 감염으로 치료 받은 과거력이 있다면 면역력이 약해질 경우 재발 가능성이 높으므로 예방주사를 접종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에서 각종 예방 접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상 포진의 접종대상 및 접종시기는 60세 이상 성인에서 1회 접종이며 대상포진을 앓은 경우에는 회복 후 최소 6∼12개월이 경과한 후 접종하는 것을 권장 하고 있습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50세 이하는 면역력이 약하지 않고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발생하는 빈도가 낮아 예방접종이 적극 권장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전 대상포진을 앓았을 때 신경통이 심했었다면 20,30대에서 예방접종을 하는 경우가 더러 있으므로, 예방접종을 하시는 것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규칙적인 식습관과 운동으로 면역력을 올려주는 것이 좋고,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스 관리를 잘 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70-79세에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0세 미만에서는 대상포진의 위험도가 현저히 떨어져 유병률이 낮고, 백신 예방접종으로 인한 면역력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그 효과는 감소하므로 특정 연령대가 아닌 경우에는 접종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50세 이상 기감염자의 경우에도 백신 접종은 권고됩니다. 일반적으로 대상포진의 재발확률이 5%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이전 감염에 대한 진단이 잘못되었거나 불분명하므로 백신 접종으로 인한 부스터 효과가 충분한 이득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접종은 감염 후 1년 후에 접종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으므로 참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가 몸 속에 잠복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한번 감염되면 완치되지 않고 신경계에 잠복해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다시 활성화되어 재발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예방접종을 권고하며 일부 지자체에서는 연령 기준을 만족하면 접종비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대상포진은 한 번 앓았다고 해도 다시 재발하기 쉽습니다. 특히 나이가 있어 면역력이 약화된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재발률이 50% 이상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한 번 재발을 경험한 사람도 예방접종을 하면 재발률을 낮출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접종을 권고드립니다. 단, 대상포진이 걸려서 치료를 받은 경우 치료가 끝난 후 12개월이 지난 후 접종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