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정중한해파리168
정중한해파리16824.03.30

코로나 시기에 황사 및 미세먼지가 없었던 원인은 무엇인지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다시 황사와 미세먼지가 극성입니다. 쾌청한 봄날의 날씨를 언제 느낄 수 있을까요. 코로나 시기에 황사 및 미세먼지가 없었던 원인은 무엇인지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코로나 시기에 맑은 하늘이 가능했던 것은 미세먼지를 유발시키는 공장들이 대부분 가동을 중단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런데 황사는 봄철이 되면 매번 생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코로나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황사와 미세먼지가 다시 한번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쾌적한 봄날 날씨를 언제쯤 느낄 수 있을지 궁금하시겠죠.

    코로나 시기에는 황사와 미세먼지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이유도 궁금하실 것입니다.

    3월 말 현재 황사와 미세먼지가 다시 한번 우리나라를

    강타하고 있습니다.

    이는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으며 호흡기 질환 악화 심혈관 질환 증가 사망률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어린아이 노인 만성 질환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재 상황으로는 정확히 언제 쾌적한 봄날 날씨를 느

    낄 수 있을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4월 초부터 황사와 미세먼지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4월 중순 이후에는 봄 날씨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코로나 시기에 황사와 미세먼지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이유

    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코로나로 인한 경제 활동 감소로 인해

    자동차 배출가스와 산업 오염 물질 배출량이 감소했습니다. 둘째 국제선 항공편 감소로 인해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오염 물질이 줄어들었습니다. 셋째 코로나로 인한 외출 자제로 인해 개인

    활동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 배출량이 감소했습니다.

    황사와 미세먼지가 심각한 상황에서는 외출을 자제하는 것

    이 좋습니다. 꼭 외출해야 하는 경우에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실내로 들어왔을 때는

    옷과 손을 깨끗하게 씻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내 공기 청정을 위해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거나 창문을 자주 열고 환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황사와 미세먼지는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

    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호흡기 질환 환자 노약자 어린아이는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황사와 미세먼지가 심각한 경우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실내에 머무는 것이 좋습니다.

    마스크를 착용하고

    실내 공기 청정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황사와 미세먼지가 극성인 것은 맞습니다. 쾌청한 봄날의 날씨를 느낄 수 있는 시기는 다소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봄철에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봄철에 비가 많이 오고 바람이 강하게 불어서 미세먼지가 흩어지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시기에 황사 및 미세먼지가 없었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많은 국가에서 경제활동이 감소하고 교통량이 줄어들었습니다. 이로 인해 대기 중에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양이 감소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났습니다. 이로 인해 자동차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대기 오염물질의 양이 줄어들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어서 미세먼지를 마스크가 잡아주는 효과도 있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경계가 강화되고 여행이 제한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외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이동이 줄어들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 강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코로나 시기에 황사 및 미세먼지가 없었던 원인을 설명해드렸는데요.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미세먼지 농도를 감소시킨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종식되면 미세먼지 농도가 다시 증가할 수 있으니까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백찬양 과학전문가입니다.

    큰 요인 중 하나는 산업공장 가동이 멈춰서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유독가스를 만들어내는 공장들이 멈추게 되어 코로나때는 미세먼지들이 상대적으로 덜 만들어 졌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