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공모주 시프트업 어떤가요?ㅎ
뉴스에서 하도 대어급 공모주라고해서 청약신청하여 2주 받았습니다~어느정도 오를거 예상하나요?공모주는 상장 당일에 파는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관수요예측 데이터나, 공모밴드 대비 설정된 공모가를 보았을 때,
좋은 흐름을 보여줄 것으로 예측되기는 합니다.
다만, 최근 공모주가 약간은 시들한 흐름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안심을 할 수는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보통은 당일에 파는 것이 유리한 흐름이 많았습니다.
당일에 잘 지켜보시고 판단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시프트업과 같은 경우 시장에서 높게 평가하나 주식시장에서 어떠한 평가를 받을지 알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이 기준을 세우시고 매도 등에 대한 결정을 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대부분 중소형주는 상장일이 고점인 경우가 많지만 시프트업 같은 대어들은 몇일 연속해서 상승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상장 당일에 공모가보다는 높을 것으로 보지만 어느지점이 고점이고 저점일지는 알 수 없습니다.
공모주만 하시는 분들은 속편하게 상장일 오전에 대부분 매도 하십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게임주 중에서 제일 큰 기대주로 분석이 되고 있고 상장되자마자 조단위로 상장하기에
기대감이 더 큰 상황입니다
하지만 최근 공모주 시장의 실적이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였기 때문에 첫날 크게 급등한다면
첫날 매도가 맞고 지지부진하다면 하루이틀 더 들고가는 것도 좋아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시프트업은 작년 한해 영업이익이 무려 1111억이었고, 올해 실적은 이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때문에 이번에 정해진 공모가 6만원을 뛰어넘어 상승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지만, 당일에 물량을 털고 나오는 사람들이 많을테니 상장 당일에 어느 정도 매도할 생각을 하시고 주식의 흐름을 지켜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래 기사를 보시면 참고할 내용이 있습니다. 우선 상장 즉시 국내 게임사 중 4위 업체가 될 듯하고 퍼블리싱이 아닌 개발 전문 업체로 받은 기업가치라 충분히 투자 가치가 있을 듯합니다. 주당 공모가는 6만원입니다. 경쟁률이 아주 높을 듯해서 균등배정을 노리면 몇 주 정도는 받을 수 있을 듯합니다.
저도 시프트업 두 주 배정 받았습니다
사실 규모가 큰 기업이라 두 배까지 갈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보통 첫날 오전 9시 30분 이전에 매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너 가지고 있거나 다음 날까지 가지고 있거나 해도 더 수익인 경우도 있고 손해인 경우도 있어서 차라리 9시 30분 전에 빨리 매도해 버리고 신경 안 쓰는 게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공모주 예정인 시프트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시프트업은 지난 2013년 설립된 회사로 모바일, PC, 콘솔 등 주요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 되는 게임을
개발하는 사업체로 어느 정도 시장의 반응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정답은 '모른다.' 입니다. 그걸 미리 알 수 있다면 공모주 청약을 할지 말지를 미리 알 수 있다는 것인데 이건 그 누구도 알 수가 없고, 결국 상장 당일(11일)이 되어봐야 아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소프트이란 회사는,
소프트맥스, 엔씨소프트를 거치며 이름을 알렸던 일러스트레이터 김형태가 엔씨소프트에서 퇴사하고 나오며 설립한 회사로, 첫 출시작은 2016년 라인게임즈(舊 넥스트플로어)와 협업해서 제작한 모바일 RPG 데스티니 차일드입니다. 데스티니 차일드는 출시 직후인 2016년에는 양대 마켓에서 매출순위 1위를 차지하는 등 크게 흥행하였습니다.
2018년 위메이드 측의 100억대 규모 투자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데차 이후로 6년만에 2022년 11월 4일 승리의 여신, 니케를 발매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시프트업의 IPO는 매우 주목받으며 상당한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시프트업은 공모가 밴드 상단에서 가격이 책정될 가능성이 높고 상장 후 기업가치는 약 3.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장 당일 주가의 변동성을 고려하면 단기적인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상장 첫날 매도하는 전략도 고려할 수 있지만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보며 더 오래 보유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