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세종은 향약집성방과 의방유취를 편찬한 것은 어떤 의의가 있고 당대 중국의 의약학 발전과 비교했을 때 어떠한가요
안녕하세요 세종은 향약집성방과 의방유취를 편찬한 것은 어떤 의의가 있고 당대 중국의 의약학 발전과 비교했을 때 어떠한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향약집성방과 의방유취는 조선의 의학서입니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의학서를 바탕으로 처방하고 환자를 치료했습니다. 그러나 중국 의학서의 약재가 우리나라 땅에서 재생하는 약초와 달라 약재를 구하기 어려웠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의학서가 필요했고, 고려시대 향약구급방을 편찬하였습니다.
그런데, 조선 세종 15년(1433) 유효통, 노중례, 박윤덕 등이 왕명에 따라 향약의 약효와 치료법, 침구법, 향약본초, 포제법을 수록하여 <향약집성방>을 편찬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병증에 따라 임상적 처방을 분류하여 한의학의 기초 이론과 임상, 응급 등을 91개 분야로 구분하여 <의방유취>의 의학백과사전을 세종(1445)편찬하기 시작하여 성종(1447)에 완성하였습니다. 이는 동의보감으로 이어지는 향약의 발전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