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년설을 지나는 구름때문에 지역적으로 비가 많이 올 수있나요?
제가 과거 시애틀에 3년정도 거주하다 우연히
미국인분에게 들은 이야기인데 시애틀에 비가
많이 오는게 남서쪽에서 넘어오는 구름이 만년
설을 지나면서 비구름을 만든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습니다. 근데 정작 만년설 주변에는
비가 안오던데요. 비구름이 그장소에서 만들어진
다해도 비가 내리기까지 오래걸리는거인지 시애틀
이 비의도시가 된 원인이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마도 기온 강하현상원인에 의한것으로 보이는데요
바람이 산을 넘어간 이후에 산 비탈면을따라 강하하는 과정에서
공기가 따뜻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습기가 액화되어있는 구름의 주변역시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편입니다. 즉, 차가운 공기가 많이 몰려있는 구간을 구름이 지나가면 주변수증기들도 함께 추가적으로 액화또는 동결되며 구름의 크기가 더 커집니다.
산을 지나가고나서 차가운 공기가 사라지면, 액화된 물방울들이 합쳐지며 무거워지고 비가내리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