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금리가 오르면 우리나라 현금많은 대기업도 문제가 되나요?

유동성없는 중소기업같이 부채가 많으면 좀더 부담이 많이 가겠지만, 현금자산 많은 대기업은

이자도 많고해서 더더욱 회사가 튼실해지지 않나 생각하는데, 왜 계속 현금성자산을 늘려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자훈 경제전문가
      김자훈 경제전문가
      HERITAS Corp.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어려운 시기에 현금 유보가 많은 대기업의 경우, 회사가 튼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금성 자산을 늘리는 이유는 확실한 투자처를 찾지 못했거나, 혹은 회사 재무구조의 안정성을 공고화하기 위함이 ㄹ수 있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현금성자산이 많다고 해서 그것만 항상 가져다 쓰는 것은 아닙니다.

      지속적으로 새로 자본조달을 해오게 되죠.

      물론 요즘은 금융시장이 경색되고 경기가 불안하다보니 선제적으로 현금을 더 많이 미리 끌어다 두려는 경향도 있긴 합니다.

      재무관리에서는 현금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당장 M&A나 시설투자 등의 계획이 없어도

      어느 정도 규모 이상은 쓰지 않고 항상 확보해두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 1,000대 기업 중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자금사정을 조사한 결과를 봤을때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임계치는 평균 2.6%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기준금리가 3.25%이므로 현재 상당수 기업들이 유동성 압박에 노출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들이 현금성 자산이 많다는 것은

      아무래도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염두하여 그럴 수도 있습니다만

      기업 자체가 투자를 하지 않아 기업이 성장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점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