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공학

호화로운왕나비213
호화로운왕나비213

액체가 뷰렛에서 빠져나오는 속도와 빠져나온 액체의 부피는 관계가 있나요?

실험에서 1ml의 스테아르산을 방울 단위로 떨어트리면서 그 횟수를 측정했습니다.

총 3회의 측정을 했는데 그 차이가 극심했습니다. 그래서 그 오차 원인으로 뷰렛의 벨브 풀기 정도 차이를 생각중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인터넷을 뒤져봐도 본 질문의 해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도움이 필요합니다.

혹시 아무도 모르신다면 내일 직접 가서 실험을 해볼 생각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액체가 뷰렛 안에서 바깥으로 나오게 될 때 속도 차이가 있다면 말씀하신데로 뷰렛으로 조절하는 압력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만약 뷰렛에서 코크를 동일한 위치에 두었는데도 떨어지는 속도가 틀렸다면 점도의 영향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원액이 아니라면 스테아르산을 만들때 매질이 한곳에 치우쳐서 농도가 위치별로 틀려지게 된다면 이러한 농도차이로 뷰렛에서 액체가 나올때 점도차이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스테아르산을 방울로 떨어뜨리며 횟수를

      측정한 실험에서 큰 오차를 경험하셨군요

      벨브의 개방 정도가 다를 때 방울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방울 형성 시 표면장력의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뷰렛에서 방울이 형성되는 과정은

      물리학적 현상으로

      기기의 정밀도와 사용자의 조작법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실험 조건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벨브를 동일한 각도와 압력으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뷰렛의 내부 상태나

      방울이 떨어지는 높이와 같은

      다른 실험 변수도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선

      모든 실험 조건을 철저히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며

      내일 다시 실험을 진행하신다면

      위 변수들을 염두에 두고

      정밀한 조작으로 변인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