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은 어떻게 사라지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문득 하늘을 보다가 궁금해 지는데 구름은 생성되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사라지는지 과학적으로 연관지어서 설명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이에게 설명할수 있도록 쉽게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물과 얼음의 미세한 입자들이 모여 만들어진 것으로, 물 순환의 한 과정입니다. 구름은 크게 뭉게구름, 층적운, 적란운으로 나뉘는데, 뭉게구름은 가장 높이 떠 있는 구름입니다. 뭉게구름이 사라지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강수입니다. 뭉게구름은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되는데, 이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너무 무거워지면 구름에서 떨어져 빗방울이나 눈이 됩니다. 빗방울이나 눈은 지표면에 도달하면 물로 돌아가거나, 다시 증발하여 구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증발입니다. 뭉게구름은 바람에 의해 이동하면서 수증기를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또한, 햇빛에 의해 구름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증발하여 사라지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증발하는게 아니고 이동하는것이고 증발할순없습니다. 구름은 물이 가득차면 비로써 내려서 사라지죠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찬 공기와 만나 응결되어 만들어집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는 태양의 열로 인해 뜨거워지면 증발하여 공기 중에 떠다닙니다. 찬 공기와 만나면 수증기가 응결되어 작은 물방울로 변하게 됩니다. 이 물방울들이 모여 구름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모인 물방울이 비나 눈이 되어 내리면서 구름이 사라지게 되는겁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사라지는 과정은 증발과 침적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만약 구름이 수분이 부족한 건조한 대기로 이동하게 되면, 구름 속의 수분이 증발하여 구름이 사라집니다.
그렇지 않다면 구름 내의 물방울이 더 크게 합쳐져 더 무거워지면, 중력에 의해 지면으로 침적하여 비로 내리며 사라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