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수줍은복어70
수줍은복어7019.12.01

조선시대 봉화 장소가 어느 산인지 알려주세요?

조선시대 사건사고 발생 시 파발이나 봉화를 사용했는데,

어느 산에서 봉화를 설치해서 사용 하였는지와 봉화간 거리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봉수(봉화)는 전국의 주요 간선로를 '5로'로 나누어 이를 직봉이라 하였는데, 이는 동북 두만강변의 우암, 동남 해변의 응봉,서북 압록강변의 여둔대와 고정주, 서남 해변의 돌산포를 기점으로 하여 서울의 목멱산(남산)의 5개 봉대에 도달하였다. 즉 남산 봉수에 있는 5개소에서는 동쪽에서부터 제1거(慶興∼서울 간 직봉 122, 간봉 58, 계 180)가 영안도(함경도)로부터 강원도를 거쳐 양주 아차산에 이르는 봉수, 제2거(東∼서울 간 직봉 44, 간봉 l10, 계 154)는 경상도로부터 충청도를 거쳐 광주 천림산에 이르는 봉수, 제3거(江界∼서울 간 직봉 79, 간봉 20, 계 99)는 평안도 강계로부터 내륙으로 황해도를 거쳐 한성 무악 동봉에 이르는 봉수, 제4거(義州 서울 간 직봉 71, 간봉21, 계92)는 평안도 의주로부터 해안으로 황해도를 거쳐 한성 무약 서봉에 이르는 봉수, 제5거(順天~서울 간 직봉 61, 간봉 24, 계 85)는 전라도로부터 충청도를 거쳐 양천 개화산에 이르는 봉수이다.

    이와 같은 직봉 외에 동래 간비도로부터 안동 봉지산 직봉간의 중간지역을 연결하는 장거리선 간봉과, 특히 국경방면의 전선초소로부터 본진 ·본읍으로 보고하는 단거리선 간봉 등이 있었다. 이러한 봉수대 수는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직봉 402, 간봉 271, 계 673개소였다. 각 봉수대(봉화대)의 상거거리는 변방 제일선의 연대가 그 중요성에 비추어 10∼15리 이하로 조밀하게 배치되었고, 내지봉수로 옮겨갈수록 거리가 멀어지는데, 평상시 낮에 연기로써 신호하는 서울에서 먼 주수지역은 20∼30리 간격, 서울에 가까운 야화지역은 40∼50리 정도가 기준이었다. 그리고 각 봉수 노선별로 봉수 상준처의 산명과 거리 등을 수록하여 이를 관할 지방관아의 영진으로부터 중앙의 병조 ·승정원에 소장케 하였다.

    위 글에 나와있듯이 너무나 많은 봉화대가 있었습니다.

    약 120년 전까지도 사용했던 봉화(봉수)는 남산, 청도군 이서면의 팔조리 봉수대, 오례산성 봉수대, 제주도, 땅끝마을, 동해시 어달동 등 많은 지역에서 지금도 터를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기타] 이근호 편저.박종기 감수<청소년을 위한 한국사 사전>청아출판사 2007.4.16.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