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아이의 놀이권 보장을 위한 지자체의 프로그램은?

아동의 놀이권 보장이 국제적으로 강조되고 있지만, 도시 환경에서는 안전한 놀이 공간 부족이 문제로 지적됩니다.

사회복지 기관과 지자체가 아동의 건강한 놀이 문화를 위해 어떤 공간과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까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야이의 놀이권 보장을 위한 지자체 프로그램은

    육아지원종합센터에서 아이의 각 성장 발달 단계에 맞춰 놀이 및 활동을 진행 하고 있습니다.

    아이 놀이를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은 안전하고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열린공간, 그리고 예술.오감발달을 지원하는

    맞춤형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지자체는 실내놀이터 야외 모험 놀이터 통학권 내 소규모 놀이공간 등 안전한 지역 기반 시설을 우선 확보해야 합니다

    사회복지기과능 방과후 창의놀이,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 부모교육 등 놀이 접근성을 높이는 지원 활동이 필요합니다.

    모바일 온라인 중심 도시환경을 보완하기 위해 찾아가는 놀이버스, 거리 놀이데이 같은지역 참여형 프로그램도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지자체는 아동이 안전하게 놀 수 있는 공간 마련과 아동 주도의 놀이문화 활성화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아동의 놀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역할을 해야할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의 놀이권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안전한 공간 제공 + 다양한 자유놀이의 기회 제공 + 지역사회의 인프라와의 연계가 핵심입니다.

    1. 지자체는 실내와 실외의 공공 놀이 공간을 확대하는 것이 좋아요. 무엇보다도 위험은 최소화하면서, 모험과 신체 활동이 가능한 환경을 마련해야 합니다.

    2. 사회복지 기관은 자유놀이 중심의 프로그램, 또래 놀이 프로그램과 모임 등 놀이 역량을 키우는 활동을 운영할 수 있어요.

    3. 학교와 지역 센터와 연계하여 방과 후 프로그램, 늘봄 프로그램, 자연 놀이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