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금지는 세계적으로 몇 없는 시장인가요?
한국 증시가 이번에도 MSCI 선진지수 편입에 실패했다고 합니다. 공매도 금지를 한 것이 지적당한 사항이라던데 이러한 경우가 드문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전세계적으로 공매도를 정부의 입김으로 조정하는 곳은 중국과 한국이 대표적입니다
그만큼 외국 투자자 입장에서는 햇지 수단이 없는 시장을 선진국 지수에 포함시키긴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다만 우리나라도 공매도 시스템을 내년 3월까지 개선하여 전면 시행하게 되면 내년 6월에는 MSCI선진국
지수에 포함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와 같은 경우에는 전세계 주식시장 모두에 있는 제도로 이러한 제도를 금지하는 것 자체가 선진화된 주식시장가 거리가 멀다는 비판이 있는 등 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융 선진국 중에서 공매도를 금지하고 있는 나라는 많지 않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도 공매도를 한시적으로 금지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공매도 금지하는 나라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부분의 주요 국가들은 무차입 공매도를 금지하지만
다른 공매도에 대해선 금지하는 곳은 거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증시가 MSCI 선진지수 편입에 실패한 것은 공매도 금지 조치가 한 몫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공매도 금지 조치는 투자자들이 주식을 빌려 판매하는 것을 제한하는 조치로, 주가 하락을 억제하고 투자자들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이러한 조치가 MSCI의 선진지수 편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 맞습니다. 공매도를 금지한 나라는 세계적으로 아니 세계 주요 선진 시장에서는 거의 없는 일입니다 그만큼 작년에 전격적으로 실시했던 공매도 금지는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지 않는 결정이었습니다. 이처럼 갑작스런 반시장주의적인 정책 결정이 우리나라 Korea 디스카운트를 유발하는 원인입니다
말씀하신대로 공매도 금지 사항으로 MSCI에 들어가지 못했어요. 전세계에서 공매도를 금지하는 국가는 우리나라와 튀르키예 2국가 뿐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강하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 금지는 특정 상황에서 여러 나라에서 시행될 수 있습니다.
특히 금융시장 불안정이나 주가 급락 등의 위기 상황에서 주로 도입됩니다. 일시적으로 도입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우리나라,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그리스 등이 최근 몇 년 동안 공매도 금지를 시행한 국가입니다.
공매도 금지는 세계적으로 드문 조치입니다. 공매도는 주식 시장의 유동성을 높이고 가격 발견 기능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선진 시장에서는 공매도를 완전히 금지하지 않습니다. 대신 특정 조건 하에서 규제를 하거나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방법을 택합니다.
한국이 이번에도 MSCI 선진지수 편입에 실패한 이유 중 하나로 공매도 금지가 지적된 것은, 공매도가 선진 시장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MSCI 선진지수는 세계 주요 투자자들이 참고하는 중요한 지표로, 여기에 편입되면 해당 시장에 대한 신뢰도와 투자 유입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한국 증시가 MSCI 선진지수 편입에 실패한 것은 공매도 금지 외에도 다른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공매도 금지가 지적된 것은,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을 선진 시장으로 간주하는 데 중요한 기준 중 하나로 공매도 허용 여부를 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과 유럽의 주요 증시에서는 공매도가 일상적으로 허용되며, 이를 통해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 금지는 전 세계적으로 드문 경우입니다. 한국 증시가 MSCI 선진지수 편입에 실패한 주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공매도 금지입니다.
대부분의 선진 시장에서는 공매도를 허용하고 있고 한국의 공매도 금지는 이러한 국제 기준과 맞지 않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 금지 여부는 각국의 경제 상황, 금융 규제 정책, 시장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공매도를 완전히 금지하거나 일정 기간 동안 금지하는 국가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주요 금융 시장에서는 공매도가 허용되어 있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일시적으로 금지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공매도 금지 조치를 취했던 사례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많은 국가들이 금융주에 대한 공매도를 일시적으로 금지했습니다.
2020년 COVID-19 팬데믹: 여러 국가들이 주식 시장의 급락을 막기 위해 공매도를 일시적으로 금지했습니다. 이탈리아, 스페인, 한국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