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심리학 이론중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에 대해 궁금합니다.
심리학 도서를 읽다보니 용어 중에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라는 말이 있더군요. 단어 그대로 해석하면 기본 설정 네트워크 정도로 해석될것 같은데, 정확한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에대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가 어떤 의미인지가 궁금하군요.
워싱턴대 의대의 뇌과학자 마커스 라이클 교수는 사람이 아무런 인지 활동을 하지 않을 때 활성화되는 뇌의 특정 부위들이 있음을 알아내었으며 이 부위를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라고 명명하였다고 합니다.
뉴턴은 사과나무 밑에서 멍하니 있다가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알아냈습니다. 또한 아인슈타인도 바이올린과 보트 타기를 하며 휴식을 즐겼으며, 비판 철학의 창시자인 칸트는 산책을 좋아했던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금세기 최고의 전설적인 경영인으로 불리는 잭 웰치도 GE 회장 시절 매일 1시간씩 창밖을 멍하니 바라보는 시간을 가졌다고 합니다.
멍 때리기처럼 아무런 생각을 하지 않을 때 오히려 문제의 해답을 찾는 경우가 많은 것은 과연 과학적으로 근거가 제시한 것이 마커스 라이클 교수의 연구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의식적으로 뭔가를 하지 않을 때, 즉 멍때리거나 몽상에 빠지거나 잡생각을 하거나 명상을 할때 활발하게 작동하는 뇌의 영역들을 통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