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진득한반딧불210
진득한반딧불21023.07.30

주식시장에서 상한가, 하한가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주식시장에서 상한가, 하한가의 기준은 전일 종가 기준 30% 인가요, 아니면, 시장가(시초가) 기준 대비를 의미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멀씀 대로 상하한가는 전일 종가 가분입니다.

    가령, 전일 종가가 주당 1,000원이었으면 상한가는 1,300원, 하한가는 700원입니다.

    시간외 단일가 종가 등과는 무관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낭ㄹ 종가를 기준으로

    상한가와 하한가의폭이 정해진다고 보시면 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한가 하한가 30프로의 기준은 전일 종가대비로 +-30프로 일경우 상한가 하한가라 말합니당!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하한폭은 전날기준가 대비 30프로입니다.

    30프로로 변동된것중 큰이유는 규제를 완화시킨것이라 볼수있어요 제한폭을 둔 나라는 국내주식뿐이였고 과거에는 주식으로인햐 투기우려로인해 제한폭을 두었다 할수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종가대비 30% 입니다. 예를들어 종가가 만원이면 13000원이 상한가, 7000원이 하한가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한가 하한가 모두 전일의 종가대비해서 30% 의 등락폭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한가 하한가는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합니다. 전일 종가기준 30%가 오르면 상한가, 전일 종가기준 30%가 떨어지면 하한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식시장에서 상한가와 하한가는 가격 변동을 제한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상한가는 주식 가격이 하루 동안 일정 비율 이상 상승할 수 없는 가격 제한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여 시장 안정성을 유지하고 투자자들의 급격한 손실을 막습니다. 하한가는 주식 가격이 하루 동안 일정 비율 이상 하락할 수 없는 가격 제한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가의 급격한 하락을 제한하여 시장의 과도한 악재에 대응하고 투자자들이 전체적인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합니다. 상한가와 하한가는 각각 주식 거래소나 규정에 따라 설정되며,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