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몽골의 2차침입때 김윤후 장군이 살리타를 전사시켜 승리하였습니다. 그런데 그 때, 포상과 상장군 직급하사를 거절했다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고려시대 몽골군의 2차침입때 김윤후 장군이 살리타를 전사시켜 승리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그 때, 포상과 상장군 직급하사를 거절했다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232년(고종 19)에 몽골군이 침입하자 처인성(處仁城)주2으로 피난하였다. 이때 몽골군의 장군 살리타이〔撒禮塔, 살리타〕를 활로 쏘아 죽였다고 합니다. 이 공로로 상장군(上將軍, 정3품)에 임명되었으나 굳이 사양하여 섭랑장(攝郎將, 종6품)에 보임되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당시 김윤후는 승려의 신분 이였고 갑자기 그렇게 큰 직책을 받는 것은 욕심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 같습니다. 이런 김윤후의 공적을 조선 후기 안정복과 정약용은 "백현원의 승려가 처인성 전투의 승리로 무반직을 받아 환속해 김윤후라는 이름으로 대몽 항쟁의 일선에 나섰다."라고 칭송하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