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윤자매아빠
윤자매아빠

튀르키예의 지진으로 많은 국민이 희생이 되었습니다.

틔르키예 , 즉 터키의 커다란 지진으로 많은 국민이 희생이 되었습니다.

그것으로 인하여 우리 나라에서도 모금을 하며 또는 소방관들이 그 나라로 갔지요.

왜 터키를 이렇게 도와주는 걸까요? 또 형제의 나라라고 부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에 우리나라 백제와 터키 민족인 돌궐족이 연합을 해서

      청나라를 물리치는 것이 계기가 되어서

      터키에 살게 해주고 결혼도 하면서 서로 왕래를 하게 되어서

      형제의 나라라고 전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6.25 전쟁당시 한국을 돕기 위해 14,936명을 파병하여 도와줬습니다. 전사자수는 1,005명입니다. 이같이 6.25전쟁 당시 많은 인원을 한국에 파병하여 희생을 당하면서도 도와줬기 때문에 형제의 나라라고 부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터키를 형제의 나라라고 부르는 이유는 돌궐 에서 찾아볼수 있습니다.

      과거 돌궐이 흥하던 시기 우리나라에는 고구려가 있었고 고구려-연합으로 당나라와 싸웠던 기록을 찾아볼수 있습니다.

      고구려의 연개소문 장문은 돌궐 공주와 혼인을 할 정도로 돌궐과 고구려는 동맹관계였습니다.

      이 돌궐인들이 향후 여러곳으로 이주하여 투르크계 국가를 건설하는데 대표적인 국가가 터키입니다.

      터키에서는 돌궐을 자신들의 조상이라고 생각하며 그들의 뿌리와 기원에 자긍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후,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완전 우호적인 관계가 성립되는데, 6.25전쟁 시 터키는 대한민국을 지원해 연합군으로 참전하여 참전국 중 4번째로 많은 병력을 파병하고 여러 공을 세우니 터키가 형제의 나라로 불리게 되는 것입니다.

      한국 민족의 특성상,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과 상부상조의 정신을 가지고 돕고, 인간으로서의 마땅한 도리를 행하고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터키'라는 국가를 말하면 우리는 이스탄불, 지중해의 나라, 형제의 나라 등 여러 수식어를 떠올리지만 정작 우리나라와 터키가 왜 '형제의 나라'라고 불리워지는 지 그 이유를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습니다.

      그 이유를 아느냐 물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렇게 이야기를 합니다.
      6.25 때 미국, 영국, 캐나다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병력을 파견해서 그런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한다고.
      그런데 여기서 놀라운 사실은 파병 된 15,000명이 넘는 터키군 대부분이 자원병이였으며 그중 3,500명이 사망(미국 다음으로 많은 사상자)할 정도로 그들이 열심히 싸웠다는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왜?' 그렇게 많은 병력을 파견했으며, '왜' 그렇게 목숨을 걸고 싸웠을까요..

      터키에 가면 관공서나 호텔의 국기대에 터키국기와 태극기가 나란히 게양되어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터키인들 역시 한국인에게 굉장히 우호적이며, 그들은 모두 한결같이 대한민국 '코리아'를 Brother's country 라 부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