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고려 시대에 그려졌던 민화도 있나요?

민화는 조선 후기에 많이 그려졌다고 알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조선 후기 이전에 그려진 민화도 있나요? 특히 고려 시대에 그려졌던 민화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민화의 유래는 통일신라시대 처용이라는 사람이 몹시 나쁜 짓을 한 귀신에게 화를 내지 않고 너그러움을 베풀자 이에 감동한 나쁜 귀신이 앞으로 처용의 그림이 붙어있는 곳에는 나타나지 않겠다고 약속해 처용의 얼굴을 그려서 대문에 붙이면 나쁜 일이 일어나지 않을 거라는 믿음을 갖게 되면서부터라고 합니다. 이런 풍습을 문배풍습이라고 합니다.

    고려시대에는 세화 십장생도를 제작하기 시작했으며, 세화란 새해를 맞이한 것을 축하하며, 좋은 일만 생기고 나쁜 일은 일어나지 말라고 그린 그림을 뜻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세화의 종류가 다양해졌고, 도화서에서 세화를 그렸는데 왕이 머무는 궁궐에 다양한 그림으로 장식한 것을 궁중장식화라고 합니다.

    조선후기, 일반백성들도 세화와 궁중장식화로 이용되었던 다양하고 좋은 의미의 그림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런 그림들을 직접 그리기도 하고, 사고 팔면서 집안 곳곳을 장식하게 되었는데 이런 그림들을 민화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물론입니다. 조선시대의 민화가 김홍도, 신윤복등이 워낙 유명하지만 민화는 고려때도 그려졌습니다.

    고려시대의 주류로 그려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융성하였기 때문에 당시 미술은 불교미술이 주류였고 불화가 주로 그려졌습니다.

    하지만 고려말부터 민중의 삶을 그린 민화들이 그려지기 시작하였습니다. 하지만 조선시대처럼 서민의 일상을 익살스럽게 표현하거나 남녀의 연애 등을 그린 민화가 아니라 불화가 아닌 작품들을 민화로 분류 하였습니다.

    그래서 풍경화 라던지 정물화 등을 고려시대의 민화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