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할 때 속트름이 나오는 경우
안녕하세요.
집에서 식사하고 나서는 트름을 거의 하지 않는데 , 밖에서 식사만 하면 속트름이 나옵니다. 식도 근처에서 부글부글 끓는 듯한 소리도 크게 나서 민망할 때가 많은데 이게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인가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집에서 식사하고 나서는 트름을 거의 하지 않는데 , 밖에서 식사만 하면 속트름이 나옵니다. 식도 근처에서 부글부글 끓는 듯한 소리도 크게 나서 민망할 때가 많은데 이게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인가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트림의 유발 요인은 아래의 세 가지 입니다.
외식할 때 아래의 요소들이 추가되는지를 살펴보시면 됩니다.
1) 위에서 가스가 많이 생산되는 음식이나 음료를 섭취
야채 또는 과일, 그리고 사이다와 맥주 같은 탄산음료는 위 안에서 가스를 많이 만듭니다.
사과, 포도 등으로 만든 과일 주스도 트림을 잘 발생시킵니다.
트림이 너무 잦아 고민이라면 앞서 언급한 음식을 먹을 때 양을 자제하며 먹는 것이 좋습니다.
2) 습관적으로 공기를 삼키는 버릇
공기를 삼킨 경우, 아주 소량의 공기만이 위에서 소장으로 넘어가며, 대부분의 공기는 다시 트림을 통해 밖으로 나가게 됩니다.
공기는 위로 뜨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위 안에 있는 공기가 식도를 자극하며 트림으로 배출됩니다.따라서 트림은 누워있을 때보다 서있거나 활동할 때 더 잘 발생합니다.
습관적으로 공기를 삼키는 사람들은 음식을 한 번에 꿀꺽 삼키거나 너무 빨리 먹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 식사하는 동안 말을 많이 합니다. 이러면 지나친 양의 공기가 위 속으로 들어갈 확률이 높아집니다.
껌을 씹는 행위 및 흡연도 공기의 섭취를 증가시키므로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이다 등 탄산음료를 먹고 트림을 하면 속이 좀 편해지는 걸 경험할 수 있는데, 위 안에 공기가 쌓여 답답함을 느꼈다가 탄산음료를 통해 트림을 하며 공기를 배출했기 때문입니다.
3) 위장 질환
위식도 역류질환이나 위암,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또는 기능성 위장질환이 있는 경우 자주 트림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병이 있는 경우 흔히 트림 외에 속쓰림, 울렁증, 윗배가 더부룩한 증상 또는 상복부 통증이 동반됩니다.
한편, 유당 불내증이 있는 경우 우유나 유제품 섭취 시 트림이 많이 나올 수 있는데, 이런 경우 더부룩함 또는 설사가 동반됩니다.
따라서 잦은 트림과 함께 속쓰림, 더부룩함 등의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는 것이 좋으며,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트림의 빈도도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트림은 위 속에 고여있던 공기가 식도를 지나 거꾸로 올라오는 증상입니다.
탄산 음료를 마시거나 음식을 먹을 때 무의식중으로 공기가 들어가면 누구나 트림을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식사후 의례히 습관적으로 트림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심지어 트림을 안하면 가슴밑이 불러오고 답답한 느낌이 들어서 일부러 공기를 들여 마셔 트림을 유발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따라서 트림이 자주 나온다는 것 만으로 어떤 병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트림을 할 때 위액이나 위내용물이 함께 올라오거나 나쁜 냄새를 동반하면 반드시 자세한 진찰을 받아 보아야합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하면 특정할 때만 트름이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외식을 하는 경우 주로 자극적이고 기름진 음식을 드시는 경우가 많아서 트름이 더 많이 나오는 상황이 아닐까 싶습니다. 가급적 자극이 적은 음식을 드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서민석 드림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