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추천 좋아요 감사합니다!!
추천 좋아요 감사합니다!!

수은(Mercury)이 행성 수성(Mercury)과 이름이 같은이유가 무엇인가요?

수은 Mercury가 행성의 수성 Mercury 이름을 따라서 붙여졌다고 하는데 왜, 누가 그런생각을 하고 수은과 수성의 이름에 같아진 이유를 설명해 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xcute4
    xcute4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은은 라틴어로 'hydrargyrum'이라고 하며, 이것은 그리스어의 물을 뜻하는 'hydr'와 은을 뜻하는 'argyros'에서 만들어진 말입니다.라틴어에서는 'mercurium'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중세 유럽에서 금·은·수은·구리·철·주석·납의 7종을 태양계에 속하는 별인 태양·달·수성·금성·화성·목성·토성에 대응시켰는데, 수은은 수성을 뜻하는 'mercury'와 관계가 있다고 하여 명명된 것입니다.영어의 'mercury'와 프랑스어의 'mercure'는 이 말에서 연유합니다.

  • 수은(Mercury)이라는 이름은 수성(Mercury) 행성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수은 원소에 대한 연상적인 맥락에서 붙여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공식적인 기준이 아니며, 수은(Mercury)과 수성(Mercury)의 이름 간에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mercury가 수은과 수성을 뜻하는 말이 맞습니다.수성을 나타낼 때는 Mercury라고 대문자로 씁니다.수은의 원소기호는 Hg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특별한 이유는없고 과거고대신의 이름이나 여러가지 명명법등에 의해 설정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은(mercury)이라는 이름은 로마 신화의 신으로서, 왕자들의 수호자인 신 수머큐리우스(Mercurius)에 기인합니다. 수머큐리우스는 로마 신화에서 빠른 이동과 상업, 통신 등의 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신은 로마 신화의 최고신 줄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와 로마의 신성가인 포누스 마쿠시우스(Marcus Porcius Cato)의 특헌 중 하나인 "산헌"에서도 언급되어 있습니다. 수머큐리우스는 그 특성 때문에 신속하게 이동하고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능력을 갖추었다고 믿어지며, 이로 인해 빠른 운행을 갖는 신들이나 상업에 관련된 것들에 자주 사용되는 이름이 되었습니다.

    이와 유사하게, 태양계 내부 행성 중 하나인 수성은 로마 신화의 신 수머큐리우스에게 헌정된 이름입니다. 수성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으로, 로마 신화의 신 수머큐리우스의 신속함과 관련하여 이 이름이 선택되었습니다. 수성은 태양 주변을 빠르게 돌아다니며 짧은 공전 주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수머큐리우스와의 관련성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수은이라는 이름이 수성의 이름과 동일한 것은 로마 신화의 신 수머큐리우스와 그의 특성과 관련하여 선택된 것입니다. 이는 로마 신화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인 명명법의 한 예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영어권에서는 이 머큐리라는 이름을 그리스 로마신화의 전령의 신인 헤르메스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헤르메스 신은 제우스의 아들로 가지 못하는 곳이 없는 이동과 관련한 신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스에서는 이름이 헤르메스였지만 로마에서는 Mercurius로 불리며 Mercury의 어원이 됩니다. 수성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궤도를 공전하여 고대인들 눈에 사라짐과 나타남을 빠르게 반복하니 우리나라말로 동해번쩍 서해번쩍하는 행성이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제우스의 아들이자 빠름과 이동의 상징인 머큐리로 이름을 지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수성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오행설에서 유래한 다섯가지 원소 금, 목, 수, 화, 토에서 수를 따와서 수성이라 이름지었을 뿐인데 어쩌다 보니 오행설에서 유래한 수성과 서양에서 부르던 머큐리가 같은 대상을 부르는 이름이 되었고 이 머큐리가 또한 우연찮게 수은을 의미하는 단어이니 수은은 이름자체가 물, 즉 액체와 많은 인연이 있는 금속인것을 볼때 꽤 흥미롭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중세 유럽에서 금·은·수은·구리·철·주석·납의 7종을 태양계에 속하는 별인 태양·달·수성·금성·화성·목성·토성에 대응시켰는데, 수은은 수성을 뜻하는 'mercury'와 관계가 있다고 하여 명명된 것입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