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귤이 무슨원리로 이렇게되는지 알려주세요

껍질깐귤은 물에가라앉고 껍질안깐귤은 물에뜨는이유가 뭔가요??

조카에게 설명해주고싶은데 원리를 잘모르겠네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대견한멧새88
      대견한멧새88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귤 껍질에는 잘 안보이지만 상당한 양의 공기가 포함돼 있습니다.

      공기가 많이 들어 있는 껍질은 안의 과육보다 밀도가 낮고 더 가볍게 됩니다.

      반면 안의 내용물인 귤은 당연히 껍질보다 훨씬 밀도가 높아 물에 가라앉게 되죠.

      그렇기 때문에 가벼운 껍질로 둘러싸인 아직 안깐 귤은 물에 뜰 수 있게 됩니다.

      (어떤 물건을 공기가 들어 있는 선물 포장재로 싼 뒤 테이프로 감아 물에 띄워보면 물에 뜨죠. 같은 원리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귤의 껍질이 있는 상태에는 귤 내부에 공기층이 곳곳에 있어, 마치 풍선을 물위에 띄우는것과 비슷한 효과가 납니다.


      공기는 물보다 매우 가볍기 때문에 물 위쪽에 있고싶어하는 성질이 강한데, 귤껍질에 쌓여있기때문에 귤껍질을 함께 물위쪽으로 같이 이동하게합니다. 이러한 힘을 부력이라고합니다.


      반면, 껍질이 없으면 이러한 공기층이 사라지는 것이므로, 물보다 무거운 귤이 물 아래쪽으로 이동하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껍질 깐 귤은 가벼운 껍질이 없어져서 물에가라앉고

      껍질 안깐 귤은 무거운 알맹이만 남아 물에 가라앉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밀도 때문입니다.

      귤껍질은 알맹이와 물보다 밀도가 작습니다. 알맹이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의 작은 밀도 덕분에 귤은 물에 뜰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알맹이는 물보다 밀도가 높습니다. 그래서 물에 가라앉는 것입니다.

      쉽게 설명을 한다면 우리가 튜브를 타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물보다 밀도가 높은 사람은 귤 알맹이, 물보다 밀도가 낮은 튜브는 귤껍질"이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귤 껍질에는 많은 양의 공기가 포함되어 있어서 물에 넣었을 때 뜨는 현상이 있는거고 껍질을 깠을 때는 이 반대이기 때문에 물에 가라 앉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