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물리

도롱이
도롱이

속력이 높을수록 더 제동 거리가 길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정확하진 않지만 속력이 더 높아질수록 제동거리는 비례하는 게 아니라 제곱에 가깝다고 하던데요. 높을수록 훨씬 더 제동 거리가 길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제동거리가 속도에 제곱에 비례해서 길어지는 이유는 자동차의 운동에너지에 있습니다. 운동에너지 E= 1/2 × m x v^2입니다. 속도에 제곱에 비례해서 운동에너지가 증가하는데 속력을 줄이기 위해 브레이크를 잡으면 이 운동에너지가 0이 될때까지 차는 멈추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동거리도 속도에 제곱에 비례해서증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속력이 증가함에 따라 제동 거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현상은 물리학의 근본적 원리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운동 에너지의 개념과 이 에너지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운동 에너지는 E = (1/2)mv²로 표현되며, 여기서 m은 질량이고 v는 속도입니다. 이 공식에서 볼 수 있듯이, 속도가 두 배 증가하면 운동 에너지는 네 배로 증가합니다.
    제동 거리를 이해하는 또 다른 핵심 요소는 제동 중에 소모되어야 할 에너지 양과 이 에너지를 소모하는 과정에서의 마찰력의 역할입니다. 제동 시 발생하는 마찰력은 타이어와 도로 사이, 브레이크와 바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운동 에너지가 열로 전환됩니다. 이 과정에서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에너지가 증가하므로,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필요한 제동 거리도 급격히 증가합니다.
    제동 거리 d는 d = v² / (2μg)로 근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μ는 마찰 계수이고 g는 중력 가속도입니다. 속도 v의 제공이 직접적으로 제동 거리에 영향을 미치므로, 속도가 증가할수록 제동 거리는 제곱적으로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