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피가 오랫동안 멈추지 않아요 혈소판 감소증일까요?
코피가 2주에 한번씩은 무조건 나고 짧으면 20분, 길면 2~3시간동안 코피가 나요. 출혈량도 상당하고요. 이비인후과에 방문하였을때는 앞혈관에서 흘러나오는 일반적인 코피라고 하는데, 지혈이 잘 되지 않아서 걱정이에요. 혈소판 감소증등의 혈액 질환등이 의심이 조금 되는데 병원에 가서 정밀검사를 받는게 맞을까요? 만약 병원에 가는게 맞다면 어느병원에 가야할까요? 대학병원을 가야할까요 아님 근처 내과를 가야할까요?
비강 내의 혈관은 우리 몸에서 가장 약한 혈관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별한 물리적 충격이나 자극이 없이도 수면 부족, 과로, 스트레스 등에 의한 컨디션 저하가 발생할 경우에도 갑자기 비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컨디션 관리를 잘 하면서 경과를 지켜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보입니다. 건조한 환경에서도 코피가 잘 날 수 있으니 가습기를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특별히 몸에 이상이 있는 경우는 많지 않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으며, 그래도 걱정된다면 혈액응고 관련된 수치들을 확인해보시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혈소판 감소증 또는 혈액응고장애가 동반되었을 수 있습니다. 혈액종양내과나 3차병원 소아과를 내원하여 해당 증상에 대한 검사를 시행해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코피만으로는 전신적인 혈액질환을 의심하기 보다는 코 내부의 혈관이상을 의심해보는 것이 우선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진료 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코피라고 설명을 들으셨다면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지혈이 안되는 것으로 여겨지신다면 혈소판이나 지혈에 작용하는 성분 검사를 해볼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물론 혈소판 감소증이 있으면 지혈이 잘 안되는것이 맞으나
지혈이 안된다고해서 모든질환이 혈소판감소증인것은 아닙니다.
혈액응고장애도 있습니다.
혈액종양내과 방문하십시오.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피가 잘 멈추지 않는다면 질문자분의 말씀대로 혈소판 감소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장 흔한것은 ITP라 하는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입니다. 하지만 그 외에도 다른 혈액질환의 가능성 그리고 단순히 코피가 자주나는 혈관 (4가지 종류가 있음)의 안전성이 취약해졌을 가능성 또한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이비인후과를 방문해 보셨고 현재 피가 나지 않는다면 혈액검사를 통해 혈구 혈소판 혈액응고인자 등을 검사해 볼 수 있으며 PT aPTT 의 결과를 토왜 출혈 경향성 또한 볼 수 있습니다. 상황이 따라 골수검사가 요구되어 질수 있습니다. 우선적으로는 먼저 혈액검사가 가능한 병원에서 진료를 보시고 이에 관한 검사가 먼저 이후어져야 할것같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성인이 되기 전에는 점막이 얇기때문에 코피가 많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은 성인이 되면서 해결이 되는데 출혈 시간이 2-3시간은 검사를 받아볼 필요성이 있어 보입니다.
동네 내과 가셔서 우선 피검사를 통해서 혈소판, 응고인자의 정상 여부를 확인하시고 이상이 잇으면 그때 대학병원으로 진료를 보러 가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
일단 대학 병원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일반 병원 소견서가 필요한 상태로 내과 진료를 통해
일반 혈액 검사를 받아 볼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에서 이상을 보이는 경우, 대학 병원 혈액
종양 내과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한 데 혈액 검사에서 이상이 없는 경우는 결국 비염으로
인한 코피의 경우가 많고 필요하면 코피가 나는 혈관을 찾아 전기 소자로 혈관을 막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코피가 잘 멈추지 않는다면 혈소판 감소증이나 혈액 응고 인자의 문제를 확인해 봐야 합니다. 다만 코 혈관에서 피가 나는 것이라면 충분히 지혈이 잘 되지 않을 수 있어서 이비인후과에 가셔서 전기 소작술을 받는 것이 우선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혈액 검사는 동네 병원도 충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