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렌츠곡선이라는게 정확하게 어떤 걸 나타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관련 기사를 보다보면 로렌츠곡선, 필립스곡선 같은 말들이 나오는데 여기서 로렌츠곡선이라는게 정확하게 어떤 걸 나타내는 건가요?
로렌츠 곡선은 한 나라 국민들의 소득분포의 불평등도(不平等度)를 측정하기 위해 창안한 방법으로 가로축에 소득액 순으로 소득인원 수의 누적 백분비를 나타내고, 세로축에 소득금액의 누적 백분비를 나타냄으로써 얻어지는 곡선입니다. 소득의 분포가 완전히 균등하면 곡선은 대각선(45도 직선)과 일치하며(균등분포선) 곡선과 대각선 사이의 면적의 크기가 불평등도의 지표가 된되니 참고하세요.
로렌츠 곡선은 한 나라의 소득 분배가 얼마나 불평등한지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이 곡선은 소득이 낮은 사람부터 높은 사람까지 차례로 나열해서 누적 소득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곡선이 대각선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소득 불평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로렌츠 곡선이란 인구의 누적되는 비율과 소득의 누적되는 비율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한 것입니다
로렌츠 곡선이 직선에 가까울수록 소득이 평등하게 분배된다는 뜻이고 곡선이 많이 휘어질수록 소득이 불평등하게 분배된다는 뜻입니다
이 로렌츠 곡선과 관련된 것이 지니 계수입니다
로렌츠 곡선은 소득 또는 재산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도구입니다.
인구의 누적 비율을 가로축에, 소득 또는 재산의 누적 비율을 세로축에 표시하여 그래프를 만들며
완전 평등한 사회의 로렌츠 곡선은 45도 직선이 됩니다. 즉, 인구의 50%가 전체 소득 또는 재산의 50%를 차지하게 됩니다.
소득 또는 재산 불평등이 심한 사회의 로렌츠 곡선은 45도 직선 아래로 떨어집니다. 즉, 인구의 상위 소수가 전체 소득 또는 재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됩니다
질문해주신 로렌츠 곡선에 대한 내용입니다.
로렌츠 곡선 (Lorenz Curve) 란 하위 X퍼센트의 가구가 Y퍼센트의 소득이 분배 될 때의
확률 분포를 누적 분포 함수의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곡선은 소득 분배 정도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되는 곡선입니다.
로렌츠 곡선이란 각 가구의 소득이 분배 될때 확률 분포를 누적 분포 함수의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결국 국가 총 소득에서 하위 가구와 상위 가구의 %를 계산해서 절대적 평등에 대해서 수치로 나타낸 것인데 소득의 불평등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로렌츠 곡선은 하위 x%의 가구가 y%의 소득이 분배될 때의 확률 분포를 누적 분포 함수의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로렌츠 곡선은 소득 분배 정도를 나타낼 때 주로 이용됩니다.가구의 누적 백분율은 x축에, 소득의 비율은 y축에 표시합니다. 로렌츠 곡선은 재산의 분포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사회적 불평등의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한다. 로렌츠 곡선은 맥스 O. 로렌츠가 소득 분포를 나타내기 위해 개발하였습니다.
로렌츠 곡선은 인구의 누적 비율을 가로축에 두고, 소득의 누적 점유율을 세로축에 두고 이들의 관계를 그린 곡선을 말해요. 이 곡선이 대각선(직선)에 가까워질수록 소득의 분배 상태가 평등하고 곡선의 깊이가 깊을수록 불평등 정도가 높다고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