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조선시대 암행어사들이 했던 일들이 정확히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소설 춘향전에 보면 마지막에 이몽룡이 암행어사가 되어서 고향으로 내려와 당시 횡포를 부리고 있던 변사또를 잡아 옥에 가둬버리는데요. 이러한 부정비리를 감시하였던 역할 말고도 또 어떠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지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암행어사의 임명은 패초와 추생의 절차를 거쳐 봉서(封書), 사목, 마패, 유척을 내리는 것으로 이루어 졌는데, 패초는 국왕이 선정된 자를 어전으로 불러들이는 절차이고 추생은 암행어사가 관할할 구역을 결정하는 것이다.


      봉서에는 누구를 무슨 도의 암행어사로 삼는다는 신분표시와 임무의 내용이 적혀 있었다. 또한 사목은 암행어사의 직무를 규정한 책이고, 마패는 역마(驛馬)와 역졸(驛卒)을 이용할 수 있는 증명이며, 유척은 검시(檢屍)를 할 때 쓰는 놋쇠의 자[尺]이다.


      국왕이 봉서와 사목에 임명사실과 임무 및 암행조건, 관할구역을 쓴 후 밀봉하여 마패와 유척과 함께 암행어사에게 건네면, 암행어사는 임명과 동시에 출발하는데, 보통 봉서의 내용은 임지에 도착한 후 또는 서울을 벗어난 후 볼 수 있도록 하여 임무와 암행 지역의 사전누설을 철저히 방지했다.

      암행어사는 국왕으로부터 받은 봉서와 사목에 쓰여져 있는 내용을 살핀 후, 임무가 끝나면 사목 사안을 어떻게 수행했는지 서면으로 보고했다.


      암행어사의 주된 임무는, 조선 초기에는 지방 수령의 임무인 7사(농사와 양잠을 성하게 하고, 호구를 늘리며, 학교를 일으키고, 군정을 닦고, 부역을 고르게 하고, 소송을 간명하게 하며, 간활을 그치게 할 것)를 제대로 거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실적 허위보고 유무 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부정 등의 증거가 명백한 자는 가두고, 국문 또는 신문을 할 수 있도록 어사의 권한을 강력하게 규정하였다.

      출처 : 시사상식사전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령의 잘못이 밝혀지면 죄질에 따라 관인을 빼앗고 봉고 후 임시로 지역의 형벌을 심리하고 백성들의 민원을 들었으며 임무가 끝나면 수령의 행적에 대한 보고서를 올리는데 별단으로 민정과 효자, 열녀 등에 대한 미담도 적어 효자문이나 열녀문이 건립되는 계기도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