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하반기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흐름과 이로인한 환율의 흐름은 어떻게 될까요?

하반기에 반도체와 자동차의 수출이 호전되어 무역수지가 흑자추세로 전환될지가 궁금하며

최근 미국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이 늘면서 배당소득등으로 자본수지도 국내로 많이 유입된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이러한 흐름속에서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흐름은 어떻게 될것으로 예상되며 환율은 하반기의 하락추세로 접어들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역수지 자체는 흑자로 돌아 설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수출,수입 비교하였을 때 조금 흑자인 것처럼 보이는 것이지

    전체 파이로 본다면 이전보다 확실히 많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전쟁이나 금리폭등, 무역전쟁 등 경제가 전반적으로 안 좋기 때문에 수출량이 현저히 적습니다.

    물가가 낮아져 조금 늘어날지언정 올해는 힘들 것으로 보이고

    내년부터 상승세 기류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출품목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는 작년부터 시작된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소비시장이 침체되면서 글로벌 수요감소로 인해 당분간은 완연한 반등을 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여집니다. 게다가 작년부터 미국의 반도체법과 같이 반도체에 대한 미국의 제제가 심해지면서 반도체산업의 마진율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무역수지의 적자는 반도체의 업황 개선을 시작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빠르면 올해 하반기 중순 이후부터 반도체 업황 개선과 함께 무역수지 적자폭도 개선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환율의 경우에는 한미간의 기준금리 격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인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앞으로 없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면서 달러환율은 안정을 찾아가고 향후 금리폭이 좁혀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게 된다면 달러환율은 점차적으로 하락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출이 호전되고 무역수지가 흑자 전환될 것으로 보이며 환율은 1200원 대로의 하락추세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하반기로 갈수록 우리나라의 수출여건이 개선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개선이 예상되고, 무역수지 흑자의경우 환율을 안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만

    전세계적인 경기 회복과 더불어서 환율이 안정화 되어야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등도 개선될 것으로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