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주6일제를 전면적으로 시행하면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나요?

현재 대기업 삼성주요 계열사 임원을 대상으로 주 6일제를 도입한다고 하던데요.

이러한 제도를 전면적으로 시행을 하게 되면 우리나라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긍정적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주6일제를 도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일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면서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로 이어질수 있겠지만 과거의 사례를 본다면 주6일제에서 주5일제로 변화되면서 오히려 기업의 생산성이 상승하고 국가의 경제발전이 나아졌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이는 뒤로가는 정책이 될수도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주6일제는 생존을 위한 고육지책입니다. 최근 미국의 금리인상에 의한 경기침체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입니다. 임원외에 직원들은 임금 등 비용 이슈가 있고 무엇보다 육아 및 직장과 가정이라는 밸런스가 깨질수 있습니다.

  • 노동시간이 늘어나 생산성이 증가할 수 있고, 기업들의 운영비용이 감소하여 경제 성장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만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워라벨이 매우 안 좋아지고 능률이 떨어져 장기적으로는 현재 주 5일제보다 효율성이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합니다.

  • 위와 같은 경우 임원들의 한해서 그런 것이기 때문에 그만큼 해당 기업이 위기상황이라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며 노동자들에게 전면시행이 아니기에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은 적을 것으로 보입니다.

  • 질문하신 주6일제 도입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는 분명 지금의 문화나 사회의 구조를 거슬러서 역행하는 것가 같은 일입니다.

    다른 선진국들은 한국보다 훨씬더 적게 일을 하는데

    언제까지 우리는 주당 엄청난 야근과 함께 주말에도 일을해야 할까요?

    물론, 주6일 일하게 되면 관광, 레저 산업에 큰 타격이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