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접종은 근육 주사인데 왜? 혈전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코로나 백신 접종의 부작용 중 하나가 혈전인데요!
팔 혈관 주사가 아닌 근육 주사인데 혈전이 생기는 이유도
궁금하고, 기저질환이 없는 젊은 30·40대도
부작용이 생기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혈전의 기전에 대해 아직까지 밝혀진것은 없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혈전과 관련하여 혈소판감소증을 동반한 정맥 및 동맥 혈전증을 경험한 환자는 금기입니다.
이외에는 신중히 투여할수 있으며, 일반적인 주의사항은 지속되는 두통, 시야흐림, 발작, 숨참, 흉통, 다리통증, 복통, 주사부위 이외에 점상출혈, 피부 멍 등이 나타나면 진료를 받아보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의 경우 혈전이 생긴다는 보고가 있어 많이 걱정이 되실 듯 합니다. 아직 백신 접종과 혈전과의 관련성에 대한 정확한 이유는 모르는 상태입니다. 다만 이상 면역반응으로 항체가 생겨 유발되는 드문 현상이라 보고 있지요. 혈전이 생기기는 하지만,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들에서보다 발생율은 낮다고 알려져 있구요. 어쨌든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다른 나라들도 젊은 연령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아마 50세 이하이신듯 한데 모더나나 화이자로 접종하게 되실듯 하니 걱정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서민석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백신접종 후 생기는 혈전은, 일반적인 혈전이 아니고, 뇌정맥동이나 내장정맥에 주로 생기는 혈전증입니다.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으로, 백신접종으로 인한 항체가 혈소판을 활성화시켜, 피딱지를 형성하게 되고, 혈소판이 제기능을 못하게 되면서 혈소판 수치까지 감소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확한 혈전생성의 기전은 더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정확히 어떠한 기전으로 나타나는지 알 수는 없습니다. 피하 주사를 하더라도 코로나 단백질이 우리 몸의 면역을 자극하는 과정에서 혈전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이나 아직 정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진 바 없습니다. 기저질환에 따라서도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이 제각기이며 후유증 등을 예상하기가 힘듭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경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으로 인해 발생하는 혈전 부작용은 혈소판감소증을 동반한 혈전입니다.
이 혈전이 일어나는 원인은 일종의 자가면역 반응으로
백신으로 인해서 만들어진 자가항체에 의해 혈소판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혈소판이 혈전을 생성하면서 혈소판의 수가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자가면역반응은 기저질환과는 관계없이 면역반응이 활발한 젊은 층에서 더 빈발할 수가 있습니다.
혈관주사가 아닌 근육주사라도 결국 혈관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이런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을 근육주사를 한다고 해도 백신이 작용하는 부위는 혈액에 있는 면역세포 입니다.
백신으로 인해서 혈액의 면역세포가 항체를 만들게 되요.
백신이 몸에서 어떤 현상을 일으키는지 아직 완전히 이해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백신을 접종받고 생기는 부작용을 대부분 증상을 줄이는 대증요법을 이용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05274346i
괜찮습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십시오.
접종 전에 진료시 상담 받으시면 불안한 마음이 가실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
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직까지 백신에 의해 발생하는 혈전 부작용의 정확한 메커니즘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주사에 의한 부작용은 약물 투여 경로와는 관계 없습니다. 근육으로 주사를 하든, 정맥으로 주사를 하든 백신 성분은 전신으로 흡수가 되며 그에 따라 몸에서 작용하는 방식은 대동소이하기 때문입니다. 주사 부작용은 나이와 질병 상태와 관계 없이 생기기 때문에 기저질환 여부, 나이 여부와 관계없이 아무에게나 생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