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멋쩍은딱따구리187
멋쩍은딱따구리187

화이자랑 백혈병이랑 관련있을까요?

그저께 전두환 전대통령이 돌아가셨는데 내용 보니까 화이자2차맞고 일주일동안 밥안먹다가 백혈병걸려서 돌아가셨다는데 너무궁금해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코로나 예방접종과 관련된 부작용이라고 보기엔 어렵습니다. 아직까지 백신의 장기적인 데이터가 부족하기에 이러한 새로운 증상들은 동일하게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연구가 되고 논문으로 보고된 후 확실한 부작용으로 입증되게 됩니다. 지금으로서는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아닐 가능성이 더 큽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화이자 백신과 백혈병과 연관성이 있는지 궁금하시군요.

    현재 백신과 백혈병은 인과성이 전혀 밝혀진 것이 없으며, 백신의 작용기전 상 백혈병을 유발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아직까지 백신으로 인해 백혈병이 발병한다는 의학적 증거는 없습니다.

    또한 백혈병의 경우 백신접종 후 1~2주만에 발생하거나 하지는 않기 때문에

    기존에 백혈병이 발병했으나 주기적으로 검사를 하지 않아 모르고 있는 경우였고,

    백신 접종 후에 몸에 이상을 느껴 시행한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아직까지는 백혈병의 인과관계는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현재까지 연구결과로는 백신 접종 후 백혈병의 발병확률이 접종군과 비접종군간 차이를 얻기 어려워 관련성을 찾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임상에서 혈액암쪽은 대부분 크게 증상이 없다 검진상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므로 백신 접종과도 우연의 일종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백신 접종 후 항체가 생기는 과정에서 몸에 극심한 스트레스가 생기게 되고, 혈소판이나 골수에 영향이 일부 간다는 연구결과는 있습니다.

    다만 정확히 백신과 이러한 질병 발생에 대한 기전이 밝혀지지 않아 정확히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다른 원인도 모두 고려해봐야 하며, 현재로서는 정확히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화이자 백신과 백혈병은 서로 상호작용을 일으킬만한 요소는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화이자 백신과 백혈병은 서로 무관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관련이 증명된 사례가 없으며 다른 백신들도 또한 관련 사례가 없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코로나 백신 접종을 하고 나서 혈액암을 진단 받았다는 뉴스가 종종 보고됩니다만, 암은 그렇게 빨리 생기지 않는답니다. 그래서 모든 사례가 관련 없다고 결론이 났지요. 전두환 전 대통령의 혈액암은 고령에서 잘 생기는 종류랍니다. 백신 접종과는 관련 없고 사망은 암의 진행으로 인해 유발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상기 백혈병 증상은 일반적인 코로나 예방접종과 관련된 부작용이라고 보기엔 어렵습니다.

    국내에 들어온 코로나 예방 백신의 장기적인 데이터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아

    정확하게 부작용이 무엇인지 단정지어 설명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추후에 WHO 등에서 정립하여 주겠지만 현재로서는 코로나로 인한 증상이 아닐 가능성이 더 높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현재 국민청원에서 일부 사람들과 전두환 전 대통령이 화이자를 접종한 이후 백혈병이 발생하였다는 언론의 보도들이 있어 관심을 가지시는 것 같습니다.

    현재 코로나 백신의 경우 아직까지 장기적인 데이터가 부족하기에 이러한 새로운 증상들은 동일하게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연구가 되고 논문으로 보고된 후 부작용으로 입증되게 됩니다. 아직까지 백혈병은 연구가 진행된 바 없어 공시적으로 입증된 부작용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