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신호등의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을 사용하는 과학적 이유가 있나요?

매일 밖을 나가면 마주치게 되는 신호등을 보다가 문득 궁금해지는데 신호등 색이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으로 구성된 과학적 이유가 있을 듯 한데 쉽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Panda
      Panda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신호등의 유래를 설명드리자면 1860년대 영국에서 마차 또는 자동차, 등에 의해 길이 통제가 되어 있지 않다보니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었습니다.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해 신호등이 개발되었는데요.

      먼저 빨간색은 피의 색깔이기도 하며 눈에 잘띄고 자극적이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사람에게 공포감을 줄 수 있습니다. 정지의 의미를 담기 위해 빨간색 신호등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노란색은 초기에 하얀색으로 사용되었으나 한 기관사가 빨간색 신호등이 깨진 것으로 인지하고 사고가 발생한 뒤 노란색으로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초록색은 심리적으로 사람에게 안정감을 주는 색깔로 빨간색, 노란색과 극명하게 대비되기 때문에 초록색이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신호등의 특성 상 멀리서도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색을 사용한 것입니다.

      특히 가장 중요한 정지 신호인 빨간 색은 자극적이면서 공포감을 전해주는 색인 동시에 가시광 중 가장 파장이 길어 멀리서도 뚜렷하게 보이고 색맹인 사람들 눈에도 빨간색은 확인되는 특징이 가지고 있어 정지 신호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그 다음은 노란색과 파란색인데요, 이 역시 중요도에 따라 멀리서도 보이는 파장 순서대로 정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신호등의 색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은 보색관계로

      같이 붙어 있으면 눈에 잘띄는 특징이 있죠.

      그래서 전세계적으로 이 3가지색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